[환율전망] “강달러 부담 완화 속…1440원대 후반 등락 예상”

입력 2025-02-12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12 07:5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1440원대 후반에서 등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민경원 우리은행 선임연구원은 12일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무역분쟁 고조 우려에도 강달러 부담 완화를 반영해 1440원 중후반 연착륙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원·달러 환율 등락 범위를 1445~1453원으로 전망했다.

민 선임연구원은 “밤사이 강달러 포지션 청산 덕분에 환율 하단을 틀어막고 있던 강력한 지지요인이 이탈하면서 역내외 롱심리도 한풀 꺾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최근 국내 주식시장에서 포지션을 늘리고 있는 외국인 자금 유입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원화에 호재”라고 분석했다.

이어 “역내 수급의 경우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긴 했으나 1450원 중반에서 단기 고점을 확인한 수출업체 네고 유입 강도에 따라 오늘 낙폭 확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는 판단한다” 덧붙였다.

다만 수입업체 결제, 거주자 해외주식투자 등 실수요 저가매수는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진단했다.

민 선임연구원은 “국내보다 해외주식을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짐에 따라 증권사를 통해 유입되는 환전 수요가 생각보다 견고하다”며 “수입업체도 환율 하락을 관망하지 않고 적극적인 매수대응으로 일관하며 환율 낙폭을 제한하는 양상”이라고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17,000
    • -2.07%
    • 이더리움
    • 3,965,000
    • -3.29%
    • 비트코인 캐시
    • 501,500
    • -2.62%
    • 리플
    • 3,650
    • -3.74%
    • 솔라나
    • 295,800
    • -4.49%
    • 에이다
    • 1,163
    • -3.41%
    • 이오스
    • 950
    • -3.46%
    • 트론
    • 362
    • -2.95%
    • 스텔라루멘
    • 481
    • -4.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4.28%
    • 체인링크
    • 28,220
    • -4.98%
    • 샌드박스
    • 579
    • -7.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