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2141959_2135910_1199_799.jpg)
골프는 한때 일부 계층만 즐기던 고급 스포츠였지만, 이제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았습니다. 골프 연습장과 필드가 점점 늘어나면서 누구나 쉽게 골프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여전히 골프채(클럽)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모르거나 어떤 클럽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느끼는 골린이(골프 초보자)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각 클럽별 특징과 실제 경기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2141558_2135903_1200_800.jpg)
먼저 첫 샷에서 가장 멀리 보내는 클럽, 드라이버(Driver) 입니다. 클럽 중 가장 길고 헤드가 큰데요. 홀의 시작 지점에서 치는 샷, 주로 티샷에서 사용됩니다. 공을 멀리 보내는 데 최적화돼 있지만, 과도하게 힘을 준다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파4홀'에서 티샷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했을 때 드라이버를 사용해 티박스에서 최대한 멀리 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만약 350m 길이의 파4홀이라면 첫 샷을 드라이버로 230m 보내고, 남은 120m를 아이언이나 웨지로 공략하면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티에 공을 올려놓고 스윙하며, 스윙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래서 과한 힘보다는 일정한 템포를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스윙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뉴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2141554_2135900_1199_800.jpg)
두 번째는 우드(Wood), 긴 거리의 두 번째 샷을 위한 클럽입니다. 주변에서 지인들과 같이 골프를 치다 보면 고구마라고도 불리는 클럽이 있는데요. 그게 바로 우드입니다. 우드는 드라이버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헤드가 작고, 거리와 정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클럽입니다. 주로 드라이버를 친 이후 페어웨이에서 두 번째 샷을 칠 때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클럽으로는 3번 우드(3W)와 5번 우드(5W)가 있습니다.
실제 상황을 예로 들어보면 '파5홀'을 공략한다고 했을 때 드라이버로 첫 샷을 친 후 홀까지 남은 거리가 200m 정도라면 3번 우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잘 맞는다면 공이 홀 근처까지 갈 수 있어 '버디찬스'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특히 드라이버처럼 티샷이 아니라 바닥에 놓고 쳐야 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잘 잡아야 하는데요. 간혹 버디를 위해 힘을 줘 치다 보면 공을 찾을 수 없게 되죠. 그래서 드라이버보다는 쉽지만,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연습이 필요한 클럽입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2141555_2135901_1200_1800.jpg)
그다음은 거리 조절과 정밀한 샷을 위한 클럽, 아이언(Iron)입니다. 골프 연습장을 가면 숫자들이 적혀있는 클럽들을 보곤 할 텐데요. 그 클럽들이 아이언이고 숫자가 클수록 로프트(클럽 헤드의 페이스가 누워있는 각도)가 커지고 공이 더 높이 뜬다는 걸 의미합니다.
클럽 종류는 3~9번까지 있으며, 페어웨이에서 핀(깃대) 방향으로 공을 보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특히 7번 아이언은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연습하는 클럽인데요. 실제 상황을 들어 설명하면 드라이버로 티샷 후 140m가 남았다고 하면 7번 아이언으로 그린에 올릴 수 있는데요. 아이언은 우드보다 컨트롤이 쉬운 만큼 정확도를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2142126_2135911_1200_800.jpg)
짧은 거리와 벙커 탈출용 웨지(Wedge)도 중요한 클럽입니다. 로프트 각도가 높아 공을 높이 띄울 수 있는 게 특징인데요. 그린 주변에서 정교한 어프로치 샷을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피칭 웨지(PW), 샌드 웨지(SW), 로브 웨지(LW) 등이 있는데요. 만약 그린까지 50m 남은 상황. 이럴 때는 PW나 갭 웨지(GW)를 사용해 부드럽게 스윙해 공을 띄우고 굴려 핀 가까이 보내는 것이 좋죠.
또한, 벙커(모래 장애물)에 빠졌을 때 SW를 사용하면 쉽게 탈출할 수 있습니다. 핀까지의 거리를 익히기 위해서도 가장 연습이 요구되는 클럽이죠. 그래서 웨지를 사용할 때는 스윙 크기를 조절해 거리 감각을 익히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2141557_2135902_1200_800.jpg)
마지막은 홀인원의 주역 퍼터(Putter)인데요. 가장 낮은 로프트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공을 띄우지 않고 굴려서 칩니다. 마치 어르신들이 공원에서 즐기는 게이트볼과 유사한 느낌이라고 할 수 있죠. 그린 위에서 홀에 공을 넣기 위해 사용하는데요. 다양한 디자인(말렛형, 블레이드형 등)이 있으며, 개인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홀까지 3m 남은 상황이라면 퍼터를 사용해 홀을 공략해야 합니다. 이때, 그린의 경사와 속도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예를 들어 오르막이라면 조금 더 강하게 밀어쳐야 하고, 내리막이라면 부드럽게 스트로크의 힘만으로 쳐야 합니다. 과거 옛날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대기업 회장님들이 사무실에서 연습하고 있는 건 대부분 이 퍼터였는데요. 아무리 드라이버와 우드, 아이언을 잘쳐서 그린에 왔다고 하지만 퍼터에서 홀에 못 넣으면 큰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골프에서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클럽을 선택하느냐가 매우 중요한데요. 처음부터 모든 클럽을 잘 다룰 필요는 없으며, 드라이버, 7번 아이언, 퍼터부터 차근히 익혀 나가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연습을 거듭하며 경험이 쌓이면 다양한 골프채를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