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1094306_2135224_1200_805.jpg)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카드를 꺼낸 가운데 이에 그치지 않고 미국이 크게 적자를 보는 품목들에 추가 관세 위협이 더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미국이 한국에 대해 가장 크게 무역적자를 냈던 상위 10개의 품목은 자동차 부품, 일반 기계, 반도체부품, 플라스틱, 철강, 화장품, 고무, 곡물, 비금속제품 등이다.
12일 KB증권은 "이미 25% 관세 인상이 발표된 철강 외에도 자동차, 기계, 반도체, 전자기기, 가전, 플라스틱 등이 추가 관세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만약 품목에 관계없는 보편관세가 한국에도 부과될 때는, 미국 시장 내에서 타 수입품들과 가장 치열하게 가격 경쟁 중인 자동차, 철강, 석유산업 등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상호관세를 내놓겠다고 언급했다. 상호관세는 교역 상대국이 미국에 매기는 관세율을 똑같이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되갚는 방식이다. 교역 상대국으로 하여금 미국산 수입품에 매겨지는 관세를 내리게 만드는 의도다.
권희진 KB증권 연구원은 "상호관세만으로는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경우에 비해 그 위협성은 덜할 가능성이 크다. 수입 관세율이 높은 품목들이 역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타깃이 될 텐데, 한국의 경우 농산물에 매겨지는 관세율이 압도적으로 높고 다른 품목들은 그리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상호관세 부과 정책으로는 미국이 한국에 고율의 관세를 매긴다고 하더라도 국내 경제가 받는 타격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수입에서의 비중도 작고 수출에서의 중요도도 낮기 때문이다.
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수의 국가들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위협을 가하고 있지만 목표한 바대로 미국에 매겨지는 관세율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을 경우, 결국 더 큰 협상력을 위해 추가 관세 위협을 제기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품목별 관세율을 그대로 돌려주는 협의의 상호관세에 그치지 않고 교역 상대국이 더 타격을 받을만한 품목들, 즉 대미국 흑자를 크게 기록하는 ‘효자’ 품목들이 관세율 인상의 대상으로 확장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