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 온누리상품권 관련 안내가 게시돼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https://img.etoday.co.kr/pto_db/2024/10/20241022102517_2091893_1000_620.jpg)
설 기간 온누리상품권이 1조 원 이상 판매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활용 촉진을 위해 통합 앱 출시 등 편의성을 높이고 600개까지 사용처를 확대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13일 이러한 내용의 2025년 설 명절 온누리상품권 판매현황과 향후 정책 방향을 밝혔다.
중기부는 설 명절을 전후로 한 달간 국민의 물가부담을 덜어주고 전통시장 소비 촉진을 위해 △디지털상품권 할인율 상향(10→15%) △디지털상품권 결제액의 15% 환급 △온라인전통시장관 결제 시 5% 할인쿠폰 △3만 원 이상 디지털상품권 결제 시 추첨 등의 이벤트를 시행했다.
그 결과 이벤트 기간(1월 10일~2월 10일) 지류 및 디지털상품권을 포함한 총 판매액은 1조267억 원, 이중 디지털상품권 판매액은 8393억 원으로 전체 판매의 82%를 차지했다. 작년 설날이 포함된 동일 기간 총 판매액보다 5794억 원, 디지털상품권 판매액보다 7377억 원 증가했다.
관련 뉴스
설 포함 한 달간 상품권 총 사용액은 5286억 원, 이중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총 사용액의 약 71%인 3733억 원이었다. 지난해 동일 기간 대비 총 사용액은 1815억 원,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2770억 원 증가하는 등 상품권 사용에 있어 디지털상품권이 더 많이 사용됐다.
온라인전통시장관에서 디지털상품권 결제액은 한 달간 54억 원을 기록해 지난해 연간 온누리상품권 결제액(74억 원)의 73%를 차지했다. 중기부는 “이번 행사가 온라인상에서도 전통시장 등 가맹점의 매출 증진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사용자는 463만 명(카드형 225만 명, 모바일 238만 명)으로 2024년 말 대비 80만 명이 증가했다.
중기부는 설 기간 온누리상품권 판매 및 사용에서 나타난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상품권의 활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우선 3월 1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이 하나로 통합되면, 하나의 앱에서 카드형·모바일 상품권 중 선택하여 결제가 가능해진다. 통합 앱에는 상품권 충전금액 부족시 자동충전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카드형 상품권으로 등록할 수 있는 카드가 기존 8개에서 우리카드가 추가되며 디지털상품권 사용 시 불편사항을 24시간 대응할 수 있는 챗봇 상담 기능도 도입한다.
다만, 3월 1일 통합 앱 출시 준비를 위해 2월 15일 00시부터 2월 28일 24시까지 기존 카드형 및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앱의 모든 기능이 중단된다.
중기부는 거주지나 직장 주변의 소규모 상권에서 편리하게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골목형상점가를 누적 600곳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정 권한이 있는 지자체와 협력해 관련 조례의 제·개정이 추진한다. 또 가맹점을 신규 등록할 때는 지류 상품권, 모바일 상품권, 카드형 상품권 모두를 결제수단으로 취급하도록 개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