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무주택 공무원에 1억 전세 지원"...서울시, 직원 복지 강화

입력 2025-02-18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17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시, 올해 후생 복지제도 개선 계획 수립
저연차 이탈 막고 일‧가정 양립 지원 도와
다자녀 직원 전세자금 대출 2억까지 확대
연수원 추가 개소 및 심리 상담소도 운영
시, “직원이 안심하고 일하는 환경 조성”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2월 20일 아침 서울시청 본관 로비에서 ‘종합청렴도 1등급 달성 및 세계 도시경쟁력 지수 상승’을 기념해 출근길 직원들에게 커피와 다과를 나눠주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2월 20일 아침 서울시청 본관 로비에서 ‘종합청렴도 1등급 달성 및 세계 도시경쟁력 지수 상승’을 기념해 출근길 직원들에게 커피와 다과를 나눠주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최근 젊은 공무원들의 이탈 증가, 신혼부부 및 육아 공무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 등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자 서울시가 복지제도를 개선한다. 특히 무주택 공무원 1인당 최고 1억 원의 전세자금을 지원하는 등 저연차 공무원, 신혼부부 및 육아 공무원 대상으로 맞춤형 복지체계를 강화한다.

17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최근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서울시 공무원 후생복지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최근 5년간 저연차 공무원의 퇴직은 두 배이상 늘었다. 지난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승환 국민의힘 의원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5년 미만 공무원 퇴직자 수는 △2019년 6500명 △2020년 9009명 △2021년 1만426명 △2022년 1만3032명 △2023년 1만3568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서울시 후생 복지제도 기본계획에는 저연차 공무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다양한 복지제도 개선책이 눈에 띈다. 지난해 행정안전부 조사에서 공무원 퇴직 사유로 낮은 보수(35.5%), 악성 민원(18.9%) 등이 꼽힌 만큼 복지제도 개선을 통해 이를 보완하겠다는 것이다.

▲5년 미만 공무원 퇴직 현황 및 2025년도 서울시 주요 후생복지제도 현황
▲5년 미만 공무원 퇴직 현황 및 2025년도 서울시 주요 후생복지제도 현황

크게 보면 복지제도 개선안은 △생활 안정 △여가 생활 △가족 친화 △건강관리 등 4개 분야 복지를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각 분야 세부 사업에서는 출산 직원에 대한 지원 확대 방안도 담겼다.

먼저 생활 안정 분야에서는 ‘무주택 공무원 전세자금 지원’이 확대된다. 서울시 소속 무주택 공무원은 1인당 최고 1억 원을 기본 2년, 최장 6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여기에 신혼인 경우 1억 5000만 원, 다자녀 가구의 경우에는 2억 원까지 한도가 늘어난다. 이를 위한 전세자금 지원 규모는 180억 원에서 220억 원으로 확대된다.

소속 공무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연수원도 늘려 여가생활 지원을 확대한다. 현재 서울시는 서천, 수안보, 속초, 제주, 경주, 통영 등에 연수원을 두고 있는데, 올해 4월부터는 서남권, 근교권에도 연수원이 40실 추가 운영될 예정이다. 추가 연수원 지역은 전라남도 여수, 경기도 양평 등이 논의되고 있다. 노후화한 연수원은 객실 환경을 개선한다.

가족 친화 분야에서는 자녀 출산 직원에게 제공되는 복지 포인트가 확대된다. 출산부담 경감을 위해 올해부터는 첫째 자녀 출산 시에도 복지포인트 1000포인트(P)를 지급하며 둘째 자녀에는 2000P와 복지몰 지원 200P, 셋째 이상은 3000P와 매점 상품권 30만 원을 제공한다.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건강 관리에도 나선다. 특히 신규·저연차 및 민원업무 담당 공무원을 위한 ‘MZ공무원 자기회복 지원’이 눈에 띈다. 심리검진 및 상담뿐만 아니라 다양한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통해 직원들이 정신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이밖에 지난해 12월 서울시가 실시한 자체 조사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제도 2위로 꼽혔으나 동시에 개선이 필요한 제도 1위로 꼽힌 ‘공연·문화 바우처 지급’은 지난해 9매에서 올해 10매로 늘어난다.

서울시는 이번 복지제도 개선을 통해 직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공직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은 물론 더 나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회 변화 및 다양한 복지 수요를 반영해 맞춤형 후생복지를 강화함으로써 모든 직원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376,000
    • +0.48%
    • 이더리움
    • 4,069,000
    • +0%
    • 비트코인 캐시
    • 479,000
    • -0.46%
    • 리플
    • 3,997
    • +4.14%
    • 솔라나
    • 257,200
    • +0.47%
    • 에이다
    • 1,165
    • +1.92%
    • 이오스
    • 964
    • +3.88%
    • 트론
    • 355
    • -2.47%
    • 스텔라루멘
    • 510
    • +2.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800
    • -0.79%
    • 체인링크
    • 26,830
    • -0.33%
    • 샌드박스
    • 551
    • +1.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