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유럽 주요국 외교장관 등이 지난 14~16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해 회담을 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이 미국과 러시아 때문에 근 80년 만에 군사력 부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16일 보도했다. 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을 완전히 배제한 채 우크라이나 전쟁 ‘즉시 종식’을 밀어붙이고 있어 17일 유럽 주요 정상들이 프랑스 파리에서 비공식 긴급 회동을 갖기로 했다며 약 80년간 미국에 안보 대책을 ‘아웃소싱’했던 유럽이 ‘군사력 부활’ 논의를 시작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AP](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7183626_2137672_860_573.jpg)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곧 만날 수 있다고 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종전을 위한 대화에 관여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관여할(be involved) 것”이라고 했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는 같은 날 사우디아라비아로 이동했다. 미국과 러시아가 고위급 협상에 들어갔다는 뜻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오는 24일로 만 3년을 맞는다. 휴머니즘에 반하는 참상이 장기간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펼쳐지는 종전 협상은 트럼프의 ‘관여’ 언급에도 불구하고 ‘우크라 패싱’ 우려를 사고 있다. ‘유럽 패싱’ 논란도 있다. 하지만 전쟁 피해를 계속 감수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종전 협상이 접점을 찾으면 예상보다 빨리 전선의 포화가 멎을 수 있다. 큰 물줄기도 ‘우크라이나 재건’으로 바뀔 것이다. ‘21세기 마셜 플랜’이라 할 수 있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시작이다. 마셜 플랜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유럽 재건을 위해 약 130억 달러를 투입했던 원조 계획이다. 전후 세계의 경제 지형을 반영구적으로 바꿨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사회 인프라 복구에 9000억 달러(약 1300조 원)가 들 것으로 추산한다. 약 80년 전의 화폐 가치와 비교할 일은 아니지만 절대 녹록지 않은 복구 비용이다. 한국은 최소 520억 달러(약 75조 원) 규모의 재건사업에 참여하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 우크라이나 점유율 1위였던 건설기계부터 철도, 전력기기, 식량에 이르기까지 입체적 진출이 가능하다.
한국은 현지와의 소통과 협력에 적극적이었다. 정부는 2년 전 23억 달러 상당의 우크라이나 지원 패키지를 내놨다. 젤렌스키는 원전, 방산, 자원개발, 재건의 4대 분야 지원을 요청했다. 지난해에는 민관 우크라이나재건협력대표단을 구성해 교통시스템 개선, 공항 현대화, 철도 고속화, 댐 복구 등 6대 선도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넘어야 할 산도 없지 않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최근 슬로베니아 신규 원전사업 수주 계획을 중단했다. 사업비 20조 원 이상 규모인 현지 사업을 위한 타당성 조사에 불참한 것이다. 우크라이나 최인접국이자 지원국으로 우크라이나 재건의 허브로 통하는 폴란드의 원전 수주를 놓고도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 K-원전이 유럽에서 그 어떤 이유로든 삐걱거리는 것은 불미스럽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불길이 옮지 않도록 신경 쓸 일이다.
다행인 것은 우크라이나가 인정하는 우리 강점이 많다는 점이다. 우선 전후 복구를 도울 산업 포트폴리오와 인프라 경쟁력을 두루 갖춘 점이 있다. 역사적 경험도 중요하다. 6·25전쟁의 잿더미에서 맨주먹으로 선진국 도약을 일궈낸 기적의 성장사야말로 현지인들에게 전해줘야 할 진정한 자산인지도 모른다. 외교적 노력을 백방으로 기울이면서 민간과 정부가 ‘원팀 코리아’를 구성해야 한다. 공적개발원조(ODA) 자금 지원을 위한 정책 가이드라인, 민간 합동 로드맵 등도 잘 챙기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