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용 범위 내에서 전북과 분산 개최 가능해"
"흑자 올림픽 만들 것…경기, 인천 등과도 분산"

오세훈 서울시장이 개최권을 확보한 뒤 허용 범위 내에서 전라북도와의 분산 개최를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19일 제328회 시의회 임시회 시정 질문에 참석해 국민의힘 소속 유정인 서울시의원의 전라북도와의 공동 개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전라북도의 경우 처음에 공동 개최를 제안했는데, 마음 같아서는 응하고 싶지만 못 했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어 오 시장은 “올림픽은 국제 행사고 전북과의 공동 개최가 경쟁하는 외국 도시에 비해 감점 요인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만약 서울시가 개최권을 가져오게 되면 그때부터는 시설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전라북도도 함께 분산 개최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는 전라북도 쪽에도 전달한 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올림픽을 국민적인 축제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라도,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라도 분산 개최의 필요성이 있다”며 “따져보니 경기, 인천에 주로 공동 분산 개최할 수 있는 시설들이 많이 분포돼 있다”며 “해양 스포츠의 경우 부산이나 강원도에도 시설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오 시장은 올림픽 유치를 위한 재원 계획에 대한 유 의원의 질문에는 “재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하기 이르지만 비용 측면의 우위를 활용해서 올림픽이 꼭 유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분명한 것은 기존에 한 번 치렀던 대회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시설을 재활용하는 ‘재활용 흑자 올림픽’이 될 거라는 점”이라며 “다른 외국의 경우 우리(서울시)가 투자하겠다는 금액의 배 이상 투자해야 올림픽 유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서울은 경기장뿐만 아니라 도로, 공항, 그 외에 인프라도 완비가 된 상황”이라며 “경쟁 도시들에 비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우월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올림픽 행사 이후 시설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체육 인프라로 활용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오 시장은 “시간이 흐를수록 생활체육이 중시되는 분위기 속에서 88 올림픽을 치르면 남은 올림픽 레거시가 매우 활용도 높게 쓰이고 있다”라며 “다음 올림픽을 치르더라도 올림픽 레거시는 기능상 누수 요인 없이 잘 활용될 것이라 본다. 스포츠의 중점이 생활체육으로 옮겨가면서 이 시설물들이 효자 노릇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