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이 손 떨린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e건강~쏙]

입력 2025-02-21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증상 비슷한 파킨슨병과 수전증, 정확한 진단·치료 필요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통합뇌질환학회)
(통합뇌질환학회)

흔한 노화 현상 중 하나로 여기기 쉬운 ‘손 떨림’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이나 뇌신경질환인 본태성 진전(수전증)의 신호일 수 있다. 이들 질환은 눈에 띄는 증상이 매우 유사하며, 빠른 진단과 치료로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장 생활에 불편함이 없더라도 초기에 병원에 방문해 진찰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파킨슨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점차 감소하면서 운동장애가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이다. 발병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운동 증상이 나타나기 수년 전부터 심한 잠꼬대, 후각장애, 변비, 우울증 등 비운동 증상이 선행될 수 있다.

21일 국민건강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내에서 파킨슨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총 14만2013명으로 집계됐다. 80세 이상 환자가 3만3769명으로 51.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70~79세가 2만9781명(31.8%), 60~69세가 1만5593명(12.9%)으로 뒤를 이었다.

유달라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파킨슨병은 환자마다 나타나는 증상과 발생 시기와 진행 양상은 다르지만, 주로 가만히 있을 때 한쪽이 다른 쪽보다 먼저 또는 심하게 손발이 떨리거나 몸이 굳고 행동이 느려지는 특징을 보인다”라며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간주하기보다는 증상이 불편하지 않더라도 진찰을 통해 진단 및 치료 선택지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운동증상에는 대표적으로 행동 느려짐(서동), 떨림, 뻣뻣함, 중심잡기 어려움(자세불안정), 보행장애 등이 있다. 떨림은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눈에 띄는 양성 증상이기 때문에 떨림이 관찰된다면, 양상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 교수는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경학적 진찰 소견 및 진행 경과”라며 “필요한 경우 약물 유발 파킨슨증, 혈관성 파킨슨증, 파킨슨증후군과 구별하기 위해 뇌 MRI를 시행하거나 뇌 속 도파민 세포 손상을 확인하는 도파민 운반체 페트(PET)검사를 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파킨슨병은 치료를 통해 소실된 뇌세포를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는 없다. 운동을 통해 증상의 진행속도를 늦추거나 약물, 수술적 치료를 통해 불편한 정도를 완화시키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손 떨림은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이지만, 떨림의 양상에 따라 완전히 다른 질환인 본태성 진전으로 재진단되기도 한다. 본태성 진전은 ‘수전증’으로 널리 알려진 질환으로 떨림증을 증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파킨슨병과 공통적이지만, 중년 혹은 젊은 연령층에게도 발병하기도 한다.

박창규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보통 파킨슨병에 의한 손떨림은 안정되었을 때 주로 발생하며, 의도를 가지고 움직이거나 다른 일을 하면 떨림이 멈추는 특징이 있다”라며 “이와 반대로 가만히 있을 때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식사하거나 글씨를 쓰는 등 어떤 움직임을 할 때 손떨림이 발생하면 본태성 진전, 우리가 알고 있는 수전증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두 질병은 같은 떨림증을 증상으로 갖고 있으나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파킨슨병과 수전증은 초기 약물에 반응이 좋은 편이다. 특히 파킨슨병은 환자의 증상이 비교적 심하지 않고 관리가 잘되어 약물 치료에 반응이 좋다면, 꾸준한 약물 치료만으로도 좋은 경과를 유지할 수 있다.

박 교수는 “파킨슨병에 비해 수전증은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증상 조절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라며 “뇌 깊은 곳에 전극을 심어 문제가 된 운동 회로에 전기 자극을 줘 회로의 정상화를 유도하는 뇌심부자극술이 대표적이나 전신마취의 부담감과 장치를 삽입하는 것에 거부감이 있다면 대안으로 초음파 수술이나 감마나이프 수술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수전증에 대한 감마나이프 수술은 문제가 되는 운동회로 병변에 강한 방사선을 조사해 비정상적인 신호의 발생을 멈추는 원리다. 전신마취나 체내 장치 삽입이 진행되지 않는다는 점에 장점이 있으나 효과의 지속성 및 부작용 우려가 있다.

박 교수는 “파킨슨병과 수전증의 수술법인 뇌심부자극술은 질환 초기일수록 예후가 좋긴 하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우선적으로 질환을 특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부정확한 신경 신호를 인위적으로 보정하는 것으로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부작용 없이 증상을 조절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써보니] ‘도널드 트럼프’ 묻자 그록3·딥시크가 한 답변은?
  • 이지아, '친일파 논란' 조부 과오 사과…김순흥은 누구?
  • 제니→육준서 '어리둥절'…그놈의 '중안부'가 뭐길래 [솔드아웃]
  • 백종원, '빽햄 파동' 이겨낼까…등 돌린 여론 뒤집을 비장의 수는? [이슈크래커]
  • "용왕이 점지한 사람만"…전설의 심해어 '돗돔'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비트코인, 금리 인하 가능성에 깜짝 상승…9만8000달러 터치 [Bit코인]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그래미상 싹쓸이한 켄드릭 라마…'외힙 원탑'의 클래식카 컬렉션 [셀럽의카]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758,000
    • -2.51%
    • 이더리움
    • 3,906,000
    • -3.7%
    • 비트코인 캐시
    • 462,800
    • -3.64%
    • 리플
    • 3,775
    • -5.17%
    • 솔라나
    • 249,500
    • -3.29%
    • 에이다
    • 1,120
    • -6.04%
    • 이오스
    • 907
    • -4.93%
    • 트론
    • 353
    • -3.02%
    • 스텔라루멘
    • 479
    • -5.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300
    • -4.32%
    • 체인링크
    • 25,590
    • -5.19%
    • 샌드박스
    • 514
    • -7.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