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과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10월 말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를 도입한 지 3개월 만에 적립금 2조4000억 원, 서비스 3만9000건의 계좌 이전을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
실물이전이란 퇴직연금 가입자가 계좌 내 운용 중이던 상품을 매도하지 않고 다른 퇴직연금 사업자의 계좌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보유 상품의 해지 없이도 퇴직연금 운용사를 변경할 수 있어 중도해지 금리 비용이나 재매수 과정에서 시장 손실을 최소화해 선택권을 확대할 수 있다.
이전 적립금 중 75.3%(1조8000억 원)는 계좌 내 운용 중이던 상품이 그대로 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24.7%)는 수탁사와 이관사 간 상품 불일치에 따라 상품 매도 또는 해지를 통해 이전을 완료했다.
관련 뉴스
업권별 실물이전 경로를 보면 '은행→은행'(7989억 원)이 가장 많았고, '은행→증권사'(6491억 원), '증권사→증권사'(4113억 원) 순이었다.

순유입 금액이 가장 많은 곳은 증권사로 4051억 원이 순증한 반면, 은행은 순유출 4661억 원을 기록해 전반적으로 증권사에 대한 실물이전 이동이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형IRP(IRP)가 38.4%, 확정급여형(DB) 36.2%, 확정기여형(DC) 25.4%가 이동하는 등 비교적 퇴직연금 제도별로 고르게 분포됐다.
운용 주체에 따라 선호하는 퇴직연금 사업자의 업권도 나뉘었다.
근로자가 직접 적립금을 운용하는 IRP·DC형은 증권사가 각각 3753억 원, 2115억 원 순증을 기록한 반면, 사용자가 적립금을 운용해 근로자에게 확정된 퇴직급여를 지급하는 DB는 보험사·은행에서 각각 1050억 원, 768억 원 늘었다.
양 기관은 실물이전을 원하는 가입자의 편의성을 위해 상반기 내로 계좌내 보유 상품의 실물이전 가능 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사전조회 서비스'를 추가 개발·오픈할 계획이다.
또 'DC→IRP' 계좌 실물이전도 가능하도록 해 가입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금융기관 간 수익률 경쟁을 촉진한다.
금융감독원은 "퇴직연금 사업자 간 서비스 기반의 건전한 경쟁이 촉진되어 향후 퇴직연금의 수익률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