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자신이 해외 명문대 박사를 졸업하고, 뉴욕에 본사를 둔 글로벌 투자회사에서 펀드매니저로 근무한 이력을 소개했다. 또 B 상장사의 호재성 내부 정보를 공유하고 대주주 소유지분의 매수를 권유한 뒤 자체 제작한 가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설치와 투자금 입금을 유도했다.
투자 후 가짜 MTS에서 수익이 실현되자 박 씨는 출금을 요청했다. 그러나 A씨는 출금액의 8%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추가 납부하지 않으면 출금이 불가하다며 이를 거부했고, 박 씨의 연락을 일절 차단했다. 연락이 끊기고 확인한 A씨의 정보는 모두 거짓이었다.

불법 금융투자사기 피해로 금융소비자들의 경각심도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사기 수법 또한 날로 고도화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소비자들이 관련 유의사항을 숙지해 피해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며 유의사항을 23일 안내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금융투자회사 사칭 불법 자금 편취 사이트·게시글 1428건을 적발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차단을 의뢰하고, 제보·민원 중 피해사례와 혐의가 구체적인 60건은 경찰 수사에 의뢰했다.
제보 유형을 살펴보면 금융회사 등을 사칭한 투자중개(46.7%)가 가장 많았고 주식정보‧투자 자문 등을 빙자한 투자자문(23.3%), 투자매매(18.3%) 순이었다. 투자상품별로는 주식(60%), 공모주·비상장주식(20%), 해외선물 등 파생상품(13%) 등이 많았다.
먼저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에서 금융투자 거래를 하려는 상대가 제도권 금융회사 소속이 맞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해당 금융회사 고객센터에 연락하면 재직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때 명함상 전화번호는 가짜일 수 있으므로 직접 회사 대표번호로 연락한다.
관련 뉴스
거래 시 거래수수료 별도 납부 등 비정상적 요구를 하거나 사기가 의심될 경우 즉시 거래를 중단 후 신고한다. 선물거래를 위한 대여계좌 이용도 불법이다. 제도권 금융투자사는 절대 단체 채팅방·이메일을 통한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또는 MTS 설치를 유도하지 않는다.
온라인 사설 유사해외통화선물(FX)마진 사기 수법도 있다. FX마진 거래는 금융당국으로부터 금융투자업 인가를 받은 제도권 투자중개업자인 증권사 등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사설 FX마진 거래는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상품이 아닌 일종의 ‘도박’에 해당할 수 있으며, 피해가 발생해도 회복이 불가능하다.
불법업자로 의심되면 즉시 거래를 중단하고 금융감독원 또는 경찰에 신속히 제보한다. '금감원 홈페이지→민원․신고→불법금융신고센터→사이버불법금융행위제보' 코너로 증빙자료와 함께 제보하면 불법 금융투자업자 검거에 기여한 제보자에 대해 심사를 거쳐 포상금을 지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