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숙’ 트뤼도·트럼프 전화 통화…우크라전·펜타닐 등 논의

입력 2025-02-23 15: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51번째 주’ 발언으로 갈등 빚어
NHL·우크라 정세 등 주제 다뤄
트뤼도, 펜타닐 단속 효과 강조

▲쥐스탱 트뤼도(왼쪽) 캐나다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쥐스탱 트뤼도(왼쪽) 캐나다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전화로 우크라이나 전쟁부터 미국 국경 안보까지 다양한 문제를 논의했다.

22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따르면 트뤼도 캐나다 총리실은 이날 성명에서 두 사람이 이날 전화로 우크라이나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 삼고 있는 합성 마약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을 위한 캐나다 측의 대응 상황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백악관도 성명에서 “두 정상이 캐나다가 우승한 북미 아이스하키리그(NHL) 4개국 대항전에 대한 이야기로 통화를 시작했다”며 “두 사람은 격렬한 하키 챔피언십에서 맞붙은 양국 팀의 우수성에 대해 자부심을 표했다”고 밝혔다. 이어 “논의의 주제는 우크라이나 침공과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을 맞이해 24일 예정된 주요 7개국(G7) 전화 통화로 옮겨갔다”며 “트뤼도 총리는 전쟁을 끝내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열망에 공감하면서 그가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추진할 유일한 세계 지도자라는 점을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두 사람은 국경 안보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는 펜타닐이 90% 감소했다고 주장했으며, 캐나다 국경 책임자가 다음 주 미국 워싱턴D.C.에서 톰 호먼 백악관 국경 담당 차르를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민, 펜타닐 등을 이유로 캐나다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으며 이달 초 합의를 통해 한 달간 발효를 유예하기로 했다. 또다시 유예되지 않으면 3월 초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트뤼도 총리는 최근 몇 주 동안 관세 문제와 트럼프 행정부의 ‘51번째 주’ 발언으로 갈등을 빚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에도 트뤼도 총리를 “주지사”라고 칭하면서 “워싱턴D.C.에서 열리는 미국 공화당 주지사 협회 회의에 오고 싶다면 최고로 환영받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대출금리 하락 '기대감'
  • MWC 출격하는 이통3사…AI 패권 경쟁 불붙었다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차세대 AI PC 시장 공략"…삼성D, 인텔과 협력 '맞손'
  •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8% 올랐다
  • 50년 뒤 성장률 0.3%ㆍ나랏빚 7000조 돌파, 연금 2057년 고갈
  • '손흥민 8·9호 도움' 토트넘, 입스위치 꺾고 리그 12위 '유지'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666,000
    • -1.38%
    • 이더리움
    • 4,126,000
    • +2.61%
    • 비트코인 캐시
    • 479,600
    • +2%
    • 리플
    • 3,762
    • -1.34%
    • 솔라나
    • 248,800
    • -2.55%
    • 에이다
    • 1,142
    • +0.26%
    • 이오스
    • 946
    • +1.83%
    • 트론
    • 356
    • +1.42%
    • 스텔라루멘
    • 485
    • -0.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500
    • +1.28%
    • 체인링크
    • 26,100
    • +0.5%
    • 샌드박스
    • 519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