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해운업계, 선박용 3D 프린팅으로 바다 위 정비소 구현

입력 2025-03-17 09: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운항 중 MRO 부품 신속 조달 가능…비용 및 시간 절감 기대

▲선박에 설치된 3D 프린팅 디지털 워크샵 (사진제공=HD현대중공업)
▲선박에 설치된 3D 프린팅 디지털 워크샵 (사진제공=HD현대중공업)

국내 조선·해운업계가 선박 운항 중 긴급 유지·보수·정비(MRO)를 위한 3D 프린팅 기술 개발에 나선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HMM, 한국선급(KR) 등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운항 선박 내 유지보수 부품 자체 제조를 위한 3D 프린팅 융합 실증 기술’에 대한 최종 평가 및 시연을 진행했다.

컨소시엄은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울산광역시 및 산하 연구기관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3D 프린팅 디지털 워크샵’ 과제에 착수했다.

과제는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으로, 운항 중인 선박에서 자체적으로 MRO 관련 부품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3D 프린팅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것이 목표다.

선박용 3D 프린팅 시스템은 선박 운항 중 필요 부품에 대해 3D 프린팅으로 자체 제작하는 기술이다. 볼트, 너트부터 플렌지(연결 파이프) 등 350여 종의 중소 부품을 즉시 생산할 수 있다. 부품의 조달 기간, 재고량 등을 개선할 수 있어 선박 유지보수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선박용 3D 프린팅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했으나 이번 시스템은 금속분말을 사용, 스테인리스 소재 부품을 생산할 수 있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했다.

이번 실증은 9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선 ‘HMM 그린호’에서 진행된다. HMM은 실제 운항 환경에서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 선박 부품 조달 가능 여부 등을 면밀히 점검할 계획이다.

HD현대중공업은 3D 프린팅 장비 운용과 함께 선박 운동 및 진동 저감 장치에 대한 기술도 함께 검증한다. 물 위를 항해하는 선박은 연속적으로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3D 프린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운동 및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실증을 통해 조선 산업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선박 MRO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HMM 관계자는 “최신 기술의 다양한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890,000
    • +1.67%
    • 이더리움
    • 2,825,000
    • +3.25%
    • 비트코인 캐시
    • 458,900
    • +1.37%
    • 리플
    • 3,153
    • +0.57%
    • 솔라나
    • 186,700
    • +0.21%
    • 에이다
    • 1,008
    • +2.65%
    • 이오스
    • 1,016
    • +9.13%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407
    • +2.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000
    • +1.39%
    • 체인링크
    • 20,970
    • +3.5%
    • 샌드박스
    • 412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