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2년 만에 중국발전포럼 참석… 샤오미 회장과도 회동

입력 2025-03-23 12: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2일 중국 샤오미 자동차 공장을 찾아 샤오미 레이쥔 회장과 만났다. (중국 시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2일 중국 샤오미 자동차 공장을 찾아 샤오미 레이쥔 회장과 만났다. (중국 시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년 만에 중국발전포럼(CDF)에 참석한다. 이 회장은 포럼 참석에 앞서 중국 샤오미 자동차 공장을 방문해 레이쥔 회장과 만났다.

23일 중국 현지 매체 등에 따르면 중국 고위 당국자들이 글로벌 기업 대표들을 만나 직접 투자 유치에 나서는 중국발전포럼(CDF)이 이틀 일정으로 이날 베이징에서 개막했다.

중국발전포럼은 '발전 동력의 전면적 발산, 세계 경제의 안정적 성장 공동 촉진'을 주제로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국빈관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등 글로벌 해외 재계 인사 79명이 참석한다.

이 회장이 중국발전포럼을 찾는 것은 재작년에 이어 2년 만이다. 곽노정 사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포럼도 참석한다.

특히 이 회장은 전날 샤오미 자동차 공장을 방문해 레이쥔 회장과도 회동했다. 삼성과 샤오미는 스마트폰, 가전 등에선 경쟁 관계지만, 샤오미가 최근 전기차 사업을 확장하고 있어 차량용 반도체, 배터리 등 삼성과의 협력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이미 삼성전자는 샤오미에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와 이미지센서 등을 공급하고 있다. 두 사람은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번 포럼에는 BMW, 벤츠, BNP파리바, 네슬레, 보쉬, 페덱스, 히타치, 화이자, 카길, 도이체방크, 마스터카드, 퀄컴, 보스턴컨설팅그룹, 베인앤컴퍼니 등의 CEO들도 참석한다.

경제기구 인사로는 존 소튼 아시아소사이어티 이사장과 션 스타인 미중무역전국위원회장, 스티븐 올린스 미중관계전국위원회장, 존 노이퍼 미국반도체협회 대표가 참석했고, 한국에선 이시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이 지난해에 이어 참석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블룸버그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인 스티브 데인스(공화·몬태나) 상원의원이 이번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20일 베이징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출범 후 미국 정치인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고위급 지도자들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BYD 이어 지커까지…중국車 한국 공습 '파상공세'
  • 편의점서 즐기는 축구·야구…팬심 저격에 판매량 ‘쑥’
  • 돌아온 봄의 전령 ‘벚꽃’…우리 자치구에서 즐겨볼까?
  • 백종원, 주주총회 사과 후 달려간 곳…안동서 무료 식사 제공 "두고볼 수 없어"
  • 바둑판 위에서 펼쳐지는 전쟁…이병헌과 유아인이 그려낸 '승부' [시네마천국]
  • “소리로 한번, 맛으로 두번 바삭”···뿌링클 잇는 히트템 bhc ‘콰삭킹’[맛보니]
  • 국산 AAA 타이틀의 가능성 보여준 소울라이크 게임 ‘퍼스트 버서커:카잔’ [딥인더게임]
  • 주말 어디 갈까…봄날 테마파크 콘텐츠도 풍성[주말엔]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72,000
    • -1.45%
    • 이더리움
    • 2,801,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457,200
    • -1.95%
    • 리플
    • 3,176
    • -4.28%
    • 솔라나
    • 188,700
    • -3.87%
    • 에이다
    • 1,024
    • -1.63%
    • 이오스
    • 840
    • -1.87%
    • 트론
    • 349
    • +2.95%
    • 스텔라루멘
    • 401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320
    • -3.36%
    • 체인링크
    • 20,830
    • -3.52%
    • 샌드박스
    • 411
    • -3.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