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 반 토막”…4월 전국 아파트 1만3814가구 입주

입력 2025-03-26 0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 4월 권역별 입주물량 비교. (자료제공=직방)
▲2025년 4월 권역별 입주물량 비교. (자료제공=직방)

4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3월 물량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26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 조사에 따르면 4월 입주물량은 1만3814가구로 전월(2만6337가구) 대비 48%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입주물량이 줄어든 가운데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 폭이 지방보다 더 큰 것으로 집계됐다. 4월 수도권은 4067가구가 입주해 3월 1만4590가구를 기록한 입주물량 대비 72% 줄어들 전망이다.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각각 407가구와 1517가구가 입주한다. 특히 경기지역은 2017년 3월(1346가구) 이후 가장 적은 입주물량이 공급돼 예년 대비 적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지방은 9747가구가 입주해 전월(1만1747가구)보다 물량이 17% 줄어들 전망이다. 총 18개 단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지별 총가구 수는 1000가구 미만으로 비교적 소규모 단지들로 구성돼 있다. 광주 2392가구, 대전 1740가구, 부산 1651가구, 경남 1570가구 등 광역시 위주로 입주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세부 지역별 주요 입주예정 단지를 살펴보면 서울은 성내5구역을 재개발한 그란츠리버파크가 4월 입주를 준비 중이다. 지난해 7월 분양한 후분양 단지로 407가구 규모다. 경기도에선 2개 단지가 입주한다. 평택시 고덕동 평택고덕국제신도시대광로제비앙모아엘가 1255가구와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엘리프하이디움 262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인천은 검단, 부평 등 총 3개 단지가 입주한다. 서구 불로동 신검단중앙역풍경채어바니티2차 1734가구, 부평구 부평동 부평하우스토리어반그린 160가구, 미추홀구 주안동 주안극동스타클래스더로얄 249가구가 입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올해 1분기에는 7만 9782가구가 입주했으며, 남은 2~4분기에는 각 분기당 약 5만 가구 수준의 입주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직방 관계자는 “입주 물량 축소의 단기적인 시장 충격은 크지 않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전체적인 공급 감소로 인해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주택 가격 상승과 임차 시장 불안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BYD 이어 지커까지…중국車 한국 공습 '파상공세'
  • 편의점서 즐기는 축구·야구…팬심 저격에 판매량 ‘쑥’
  • 돌아온 봄의 전령 ‘벚꽃’…우리 자치구에서 즐겨볼까?
  • 백종원, 주주총회 사과 후 달려간 곳…안동서 무료 식사 제공 "두고볼 수 없어"
  • 바둑판 위에서 펼쳐지는 전쟁…이병헌과 유아인이 그려낸 '승부' [시네마천국]
  • “소리로 한번, 맛으로 두번 바삭”···뿌링클 잇는 히트템 bhc ‘콰삭킹’[맛보니]
  • 국산 AAA 타이틀의 가능성 보여준 소울라이크 게임 ‘퍼스트 버서커:카잔’ [딥인더게임]
  • 주말 어디 갈까…봄날 테마파크 콘텐츠도 풍성[주말엔]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194,000
    • -3.06%
    • 이더리움
    • 2,769,000
    • -2.05%
    • 비트코인 캐시
    • 458,300
    • -1.36%
    • 리플
    • 3,161
    • -4.21%
    • 솔라나
    • 188,000
    • -4.08%
    • 에이다
    • 1,006
    • -4.01%
    • 이오스
    • 829
    • -7.58%
    • 트론
    • 348
    • +1.16%
    • 스텔라루멘
    • 402
    • -2.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90
    • -2.76%
    • 체인링크
    • 20,560
    • -3.97%
    • 샌드박스
    • 409
    • -3.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