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관세에 GM 등 자동차업체 하락…게임스톱 22.11% ↓

입력 2025-03-28 08: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M 7.36%↓, 포드 3.88%↓
부채 통한 비트코인 매집 선언 게임스톱
알리바바, 최신AI 모델 공개에 2.56%↑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제너럴모터스(GM) 본사가 보인다. 디트로이트/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제너럴모터스(GM) 본사가 보인다. 디트로이트/로이터연합뉴스

2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등락 폭이 컸던 종목은 제너럴모터스‧포드 등 자동자 제조업체와 게임스톱, 알리바바, 앱러빈 등이다.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차에 대한 관세 부과로 하락했다. 제너럴모터스 주가는 7.36% 급락했고, 포드도 3.88% 떨어졌다. 스텔란티스는 1.25% 소폭 하락했다.

전날 약 12% 하락한 게임스톱 주가는 이날도 22.11% 폭락했다. ‘밈 주식’ 게임스톱이 비트코인 매집을 선언하면서다. 비트코인 비축을 위해 채권을 발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는데, 투자자들은 부채를 통한 비트코인 매입의 리스크가 판단해 주식을 대거 매도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CNBC방송은 설명했다.

알리바바 주가는 이날 2.56% 뛰었다. 알리바바가 인공지능(AI) 모델 큐원(Qwen) 시리즈의 가장 최신 AI 모델 ‘큐원2.5-옴니-7B(Qwen2.5-Omni-7B)’ 출시하면서다. 이 모델은 멀티모달 AI 모델로,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다양한 입력을 처리하고 실시간 텍스트 생성 및 자연스러운 음성 응답도 제공한다.

오픈소스로 공개된 이번 모델은 딥시크의 오픈소스 공개 이후 중국 내에서 점점 확산하는 오픈소스 트렌드에 따른 움직임으로 보인다.

앱러빈 주가는 이날 20.17% 폭락했다. 공매도 투자기업 머디워터스가 공매도 포지션을 공개하고, 회사의 사업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다. 머디워터스는 보고서에서 앱로빈이 주요 플랫폼 파트너들의 사용자 ID 등 정보를 수집 및 구조화하고 있으며, 이는 서비스 약관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앱러빈에 대해서는 지난달에도 공매도 투자자인 퍼지판다와 컬퍼리서치가 앱러빈의 인공지능(AI) 기반 악손(AXON)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현재 앱러빈 주가는 6일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 사상 최고가 대비 주가가 약 40% 내려앉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020,000
    • +1.72%
    • 이더리움
    • 2,830,000
    • +3.32%
    • 비트코인 캐시
    • 461,100
    • +1.9%
    • 리플
    • 3,164
    • +0.64%
    • 솔라나
    • 187,500
    • +0.7%
    • 에이다
    • 1,009
    • +2.33%
    • 이오스
    • 1,022
    • +9.89%
    • 트론
    • 352
    • -1.12%
    • 스텔라루멘
    • 407
    • +2.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000
    • +1.33%
    • 체인링크
    • 21,030
    • +3.9%
    • 샌드박스
    • 413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