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규제철폐안 10개 추가 발표…올해 100건 넘어서

입력 2025-03-30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 30일 규제철폐안 10건 발표…올해 총 103건
도심 개발 지원…전통시장 정비 허용 조건 완화
주차전용건축물 개선 및 취약계층 수도 요금 부담 완화

▲서울시청 전경.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청 전경.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도심 개발을 가로막는 기준을 완화하고, 시민 불편을 유발하는 규제들도 개선한다.

시는 30일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규제 10건을 추가 발굴해 철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로써 시는 본격적으로 규제철폐를 시작한 1월부터 3달간 총 103건의 규제를 없애거나 완화했다.

우선 시는 까다로운 규제로 슬럼화되고 있는 전통시장의 정비사업 허용대상 범위를 확대(94호)한다. 그동안 전통시장은 공실률 30% 이상, 노후도, 3년간 유동인구 10% 이상 감소 등 까다로운 기준으로 정비사업을 허가했다.

이에 시는 수월한 전통시장 정비를 위해 ‘구청장이 상권 활성화와 도시개발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시장’ 조건을 활용해 정비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규제철폐안 95호는 ‘주차전용건축물 생태면적률 적용 완화’다. 현행 규정상 주차전용건축물 조성 시 생태면적률을 20% 이상 확보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생태면적률 확보가 어려운 주차전용건축물을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95호의 주요 내용이다.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사업자는 건물 조성 취지에 맞게 최대 주차면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문화예술 분야의 민간 참여 활성화를 위해 ‘문화예술 관련 비영리법인 설립 허가 절차 간소화(99호)’에도 나선다. 문화예술 관련 비영리법인 설립 허가 시 불필요한 추가 서류를 제외하고, 사단법인 설립 요건인 회원 수도 기존 90명에서 70명으로 완화한다.

공동주택 수도 요금 세대 분할 기준도 개선(101호)한다. 현재 단일 수도계량기를 사용하는 세대수가 많은 공동주택은 수도 요금 부담 완화를 위해 건축허가 호수에 따라 세대별로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건축허가 호수 대신 실거주 세대수를 기준으로 세대 분할 신청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해 시민들의 수도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시는 △사전협상 대상지 선정 절차 간소화(96호) △서울형 연구개발(R&D) 인건비 사용 범위 확대(97호)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자율점검제 도입(103호) 등도 함께 발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개선안은 공무원들이 본인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시민들의 작은 불편도 다시 한번 바라보고 개선과제를 직접 발굴한 것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며 “앞으로도 일선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 문제의식과 개선 의지를 갖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의 삶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규제철폐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韓대행, 상법개정안에 거부권 행사..."주주 보호 역행·국가경제 부정적"
  • MG손보 청산 기로에 소비자 불안…예금자보호한도 상향 해법 되나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 유래는?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14: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82,000
    • +1.25%
    • 이더리움
    • 2,743,000
    • +1.93%
    • 비트코인 캐시
    • 459,000
    • +3.15%
    • 리플
    • 3,145
    • +0.35%
    • 솔라나
    • 188,100
    • +0.37%
    • 에이다
    • 1,001
    • +2.14%
    • 이오스
    • 1,015
    • +15.34%
    • 트론
    • 351
    • +1.15%
    • 스텔라루멘
    • 396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40
    • +1.97%
    • 체인링크
    • 20,360
    • +2.21%
    • 샌드박스
    • 409
    • +1.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