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쏠림’에...SKY 자연계 학과 합격선 낮아져

입력 2025-03-30 12: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4학년도 정시서 SKY 자연계 59%는 전국 의대 최저보다 낮아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의과대학 쏠림 현상이 가속화하면서 일명 'SKY'로 불리는 서울·고려·연세대 자연계열 학과의 정시 합격선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SKY 대학의 자연계 학과 중 의대 최저 점수 커트라인보다 낮은 과의 비중은 60%에 달했다.

30일 종로학원이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공개된 2024학년도 정시모집 합격점수를 분석한 결과 서울·고려·연세대 자연계열 학과 115개 중 68개의 합격선은 전국 의대 최저 합격선보다 낮았다. 이는 전체 자연계열 학과의 59.1% 수준이다.

세 대학 자연계열 학과 중 의대 최저 합격선보다 낮은 학과의 비중은 △2022학년도 30.2%(86개 학과 중 26개) △2023학년도 52.7%(91개 학과 중 48개) △2024학년도 59.1%로 점차 늘었다. 서울·고려·연세대는 학과 신설, 기존 학과 세분화, 전형 부문 세분화 등으로 전체 자연계열 학과 수가 늘었는데 의대 점수보다 낮은 학과 비중은 해마다 늘어난 것이다.

치과대학과 한의대 최저 합격선보다 낮은 학과는 각각 39개로, 둘다 전체의 33.9%를 차지했다. 한의대 최저 합격선보다 낮은 학과도 39개(33.9%)였다.

의대보다 합격선이 높은 서울·고려·연세대 최상위 학과들은 2022학년도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로 꼽혔고 2023학년도에는 △서울대 수리과학부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2024학년도에는 △서울대 수리과학부 △서울대 화학부 △건설환경공학 △화학생물공학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등이 꼽혔다.

종로학원은 2025학년도에는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정시 입시에서 의대 지원자가 지난해보다 많아져 의대보다 합격선이 낮은 학과 수가 더 증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2025학년도 의대 정시 지원자 수는 1만519명으로 전년 8098명 대비 2421명(29.9%) 증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대학 졸업후 취업이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수록 자연계 최상위권의 의대 쏠림으로 의대보다 합격점수 낮은 학과 범위가 더 확대될 수 있다”면서 “상위권 학생들이 상당수 의대에 진학한 상황이고, 의대에 진학한 학생들도 대입 재도전을 통해 수도권 의대 등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韓대행, 상법개정안에 거부권 행사..."주주 보호 역행·국가경제 부정적"
  • MG손보 청산 기로에 소비자 불안…예금자보호한도 상향 해법 되나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 유래는?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14: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00,000
    • +1.2%
    • 이더리움
    • 2,738,000
    • +1.86%
    • 비트코인 캐시
    • 458,200
    • +2.97%
    • 리플
    • 3,137
    • +0.48%
    • 솔라나
    • 187,500
    • +0.32%
    • 에이다
    • 998
    • +2.15%
    • 이오스
    • 1,017
    • +15.7%
    • 트론
    • 350
    • +1.16%
    • 스텔라루멘
    • 397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040
    • +1.61%
    • 체인링크
    • 20,300
    • +2.16%
    • 샌드박스
    • 408
    • +1.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