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30명 등 인명 피해 75명 달해…산림 4만8000㏊·주택 3000채 전소
정부, 임시조립주택 수요조사 및 생활안정금·영농·의료 등 지원

30명이 목숨을 앗아가는 등 75명의 인명피해를 낸 영남권 산불이 화재 발생 10일 만에 역대 최대 피해라는 악명을 남기고 모두 진화됐다.
정부는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주재로 30일 오후 4시 경북도청에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대본 9차 회의를 열고 경북·경남 산불 주불을 모두 진화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잔불 상황과 피해 수습·복구 관련 부처 진행 상황을 공유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2일 시작한 경북 산불은 일주일만인 28일에, 경남은 10일만인 이날 오후 1시께 주불이 완전 진화됐다.
관련 뉴스
이날 12시 기준 인명피해는 총 75명으로 집계됐고, 이중 사망자는 30명, 중상 9명, 경상 36명이다.
산불영향 구역은 총 4만8239ha(헥타아르)이다. 특히, 주택 3000여동이 전소되고, 국가유산 피해 30건, 농업시설 2000여건 등 시설 피해도 상당했다.
고 본부장은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산불 피해 현장은 생각보다 훨씬 참담하며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의 상실감과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중대본은 진화는 됐으나 건조한 대기 상황과 바람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잔불 처리와 뒷불 감시는 진화대원과 헬기를 동원해 이어갈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경북·경남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재민 구호 활동을 진행 중이다. 의료, 세금, 통신 등 기관별 지원 사항이 포함된 ‘산불 종합안내서’를 마련하고, 7곳의 현장지원반을 통해 주민 민원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이재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임시조립주택 입주 희망 수요조사를 벌이는 한편 이주단지 조성 등 장기적인 해결책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의료급여 지급, 건강보험 경감, 통신비 감면 등 민생 지원에 나서고, 농기계 및 종자·육묘 지원을 통해 피해농업인의 영농재개도 지원한다.
정부는 향후 재난 사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와 '중앙합동피해조사단'을 구성해 산불피해 복구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산불사태가 발생한 뒤로 전날인 29일까지 약 1만여명의 자원봉사자가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에 참여했다.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 원의 성금이 모금됐다.
고 본부장은 "산불로 삶의 터전을 상실한 이재민의 조속한 일상회복과 피해복구를 위해 최고 수준의 지원을 추진하겠다"라며 "관련 부처와 지자체는 추가 산불 방지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산불 발생 시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