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경북 지역 대형 산불의 주불 진화가 꼬박 일주일이나 걸린 데 대해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야간 헬기 도입의 필요성과 이번 산불을 계기로 관련 연구개발(R&D)이 본격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31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야간에 산불을 진화할 헬기가 한 대도 없다"며 "바람이 잦아드는 밤 시간대를 활용해 헬기를 띄울 수 있도록 야간 비행이 가능한 헬기를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국내 산불 진화 헬기의 상당수가 20년 이상 된 노후 기종"이라며 "특히 주요 기종인 러시아산 카모프 헬기는 30년이 넘었고, 이번 산불 진화 중 추락한 헬기도 33년 된 기종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는 "우리나라 전체 헬기의 70%가 20년 이상 된 상태로, 대형 헬기 도입과 헬기 국산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현재 시군 단위에서 개별적으로 임차하는 헬기가 많아, 대형 산불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특히 그는 "국가 차원에서 대형 헬기와 미국과 같이 수송기 등을 보급해 산불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북 산불 피해 면적과 관련해 이 지사는 "현재 법 체계로는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산림, 농지, 바다 등의 피해 복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전화위복으로 이미 불에 탔지만, 새 시대에 맞는 산업으로 바꿔 보여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약 3700여 명 이재민에 대해서는 이 지사는 "앞으로는 체육관 대신 호텔, 모텔 등의 시설을 활용한 선진국형 대피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며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임시 주택을 미리 준비해두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이 지사는 "경북도는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 주민 27만여 명에게 1인당 30만 원씩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며 "빠른 지원을 통해 피해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돕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