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4영업일째 하락…M7 가운데 5종목↓
월말ㆍ분기말 맞아 기관 투자가 조정에 일부 반등
공포지수인 CBOE의 VIX, 2주 만에 최고치

뉴욕증시는 3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틀 뒤 발표할 상호관세 경계감 속 혼조로 종료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17.86포인트(1.00%) 오른 4만2001.76에, S&P500지수는 30.91포인트(0.55%) 상승한 5611.85에 마쳤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3.70포인트(0.14%) 떨어진 1만7299.29에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은 4영업일 만에 반등했다. 나스닥은 4거래일 연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2개월 연속 약세를 나타냈다. 이달 다우는 5.2%, S&P500은 6.3%, 나스닥은 8.1% 각각 뒷걸음질 쳤다. 이달 S&P500과 나스닥은 2022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관련 뉴스
분기 기준으로 보더라도 다우(-1.3%), S&P500(-4.6%), 나스닥(-10.5%)은 모두 아래를 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전 세계 국가들의 대미 관세와 비관세 무역장벽을 고려해 상호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다. 예외 없이 전 국가에 상호관세를 매긴다고 공언했으며, 이날을 ‘해방의 날’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또 미국은 4월 3일 0시를 기해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되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 조치를 발효할 예정이다.
이에 세계 무역 전쟁이 심화돼 경제성장이 침체되고 인플레이션이 다시 촉발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다만 이날은 월말 및 분기말을 맞아 기관투자가들이 자산 배분을 조정하기 위해 주식을 매수한 것이 일부 반등 요인이 됐다. 또 경기 방어주에 자금이 유입된 것도 주가를 지지했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63(2.91%) 오른 22.28로 집계, 2주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기술주는 부진했다. 매그니피센트7(M7) 가운데 엔비디아(-1.18%)·마이크로소프트(-0.90%)·테슬라(-1.67%)·아마존(-1.28%)·메타(-0.07%) 등 5개 종목 주가가 내리고 애플(1.94%)과 알파벳(0.20%) 2개 종목만 상승했다.
모더나가 8.9% 급락한 것을 비롯해 제약사 주가가 약세를 나타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백신 담당 고위 당국자가 ‘백신 음모론’을 신봉하는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 보건복지부(HHS) 장관과 갈등 끝에 강제로 사직을 당했다는 보도가 28일 나온 것이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우파 성향의 케이블 뉴스 채널 뉴스맥스는 뉴욕 증시 상장 첫날 주가가 720% 급등했다. 시초가는 14달러, 마감가는 82.25달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