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 금값에 골드뱅킹 사상 첫 1조 돌파

입력 2025-04-01 13: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B국민·신한·우리은행, 골드뱅킹 잔액 1조82억
계좌수도 28만5621좌로 늘어…"금값 상승세 이어질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국제 금값이 또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31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뉴욕시장에서 금 현물 가격은 한 때 온스당 3160달러(약 466만 원)까지 오르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1년 전 886달러보다 약 40% 높은 수준이다. 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금을 정리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국제 금값이 또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31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뉴욕시장에서 금 현물 가격은 한 때 온스당 3160달러(약 466만 원)까지 오르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1년 전 886달러보다 약 40% 높은 수준이다. 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금을 정리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은행 골드뱅킹(금 통장) 잔액이 사상 처음 1조 원을 돌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면서 대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급증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 3곳(KB국민·신한·우리)의 전날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1조82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월 말(5604억원) 대비 약 80% 늘어난 규모다. 같은 기간 골드뱅킹 계좌 수도 24만4146좌에서 28만5621좌로 4만1475좌(16.98%) 늘었다.

골드뱅킹은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금을 매입해 통장에 예치해주는 방식으로, 실물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금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개인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도 금에 투자할 수 있는 골드뱅킹으로 몰리고 있다.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해 말 7822억 원에서 올해 1월 말 8353억 원, 2월 말 9165억 원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금값 급등 배경에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자리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철강·플라스틱·자동차 등 주요 산업 품목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데 이어 국가별 상호 관세 조치를 예고하면서 시장의 불안 심리가 커졌다. 덩달아 안전자산 투자 쏠림 현상이 커지고 있다.

금 현물가격은 31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전 거래일 대비 1.38% 상승한 온스당 3157.40달러에 마감했다. 장중 한때 3162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6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 역시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온스당 3149.90달러로 종가 기준 종전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금 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은 2분기까지 우상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이달 초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예고 등 무역분쟁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 안전자산 성격의 금 수요가 꾸준히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741,000
    • +1.08%
    • 이더리움
    • 2,768,000
    • -0.29%
    • 비트코인 캐시
    • 453,000
    • -1.97%
    • 리플
    • 3,141
    • -1.07%
    • 솔라나
    • 187,100
    • -1.11%
    • 에이다
    • 1,013
    • +1.1%
    • 이오스
    • 1,164
    • +14.23%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398
    • -2.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840
    • -2.56%
    • 체인링크
    • 20,070
    • -3.37%
    • 샌드박스
    • 398
    • -2.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