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남긴 업적중 경제분야에서는 단연 'IMF 외환위기 극복'을 꼽을 수 있다. 김영삼 정부 말기에 바닥난 외환보유고를 떠 안고 시작한 국민의 정부로서는 좌초한 한국경제를 다시 살리는 게 최우선 과제였다.
당시 IMF는 구제금융 대가로 강도 높은 기업 구조조정과 긴축재정정책을 요구했으며, 정부는 '울며 겨자먹기'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국민의 정부는 대기업간 빅빌과 부채비율 축소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했으며,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개선과 함께 부실한 금융기관을 대거 퇴출시키거나 합병시키는 조치를 단행했다.
이같은 노력 끝에 국민의 정부는 출범 당시 40억달러 수준으로 떨어져 국가 부도위기에 몰렸던 외환보유고를 불과 1년 만에 485억달러대로 끌어올렸으며, 2002년 말엔 1200억 달러 수준까지 회복시켰다.
이어 2001년 8월 IMF에서 빌린 195억달러 전액을 조기 상환함으로써 4년만에 IMF 관리체계를 졸업하고 한국경제의 명예를 회복했다.
또한 1997년 5%에서 이듬해 -6.7%로 급락했던 경제성장률도 1999년 10.9%, 2000년 9.3%, 2001년 3%, 2002년 6% 수준으로 회복시켰다. 경상수지 역시 1997년 83억 달러 적자에서 98년 404억달러 흑자로 반전된 이후 1999년 245억달러, 2000년 123억달러, 2001년 80억달러, 2002년 54억달러 등으로 5년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오늘날 한국경제의 기틀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더불어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통해 대한민국을 IT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진 것도 국민의 정부 시절이다. 사회간접자본 확충과 정보통신산업 육성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하며 국내총생산(GDP)에서 IT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1997년 7.7% 수준에서 2001년 15.6%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2002년 우리나라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가 1027만가구를 돌파, 인구 100명당 17.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단연 1위를 차지하는 영광을 누렸다.
이밖에 '국토기본법' 등 관련법을 정비해 국토의 균형있는 개발체계를 구축하고 '제주 국제자유도시' 건설계획을 확정하는 등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