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중국 산둥성 옌타이에 위치한 두산공정기계(산동)유한공사(DISD)의 휠로더 조립라인에 투입된 엔지니어들의 몸놀림이 분주하다. 조립부품을 실어 나르는 지게차들도 서로 엇갈리면서 가야할 길을 서두르고 있다. 휠로더는 흙을 떠서 운반하는 건설기계 장비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09/12/20091203125837_lazyhand_1.jpg)
강우규 DISD 법인장(상무)는“현재 연간 8000대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다”면서“매년 수요에 맞춰 설비를 증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국건설기계시장에서 휠로더는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휠로더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중국의 전체 건설 시장에서만 4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굴삭기 비중이 42%인 것에 비하면 휠로더를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중국 굴삭기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가 휠로더 생산을 위해 DISD 법인을 만든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강 법인장은 “중국에 로컬 휠로더 생산업체가 100여개 가까이 난립하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5대 메이커가 시장의 72%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면서“굴삭기에서는 1위이지만 휠로더를 잡지 않으면 중국건설기계 시장에서 1위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시작 첫 해인 올해 성적은 썩 좋지는 않았다. 연초 3000여대 판매 목표를 내부적으로 갖고 있었지만 11월 현재 848대가 판매됐다. 회사측은 연내 1000여대 판매를 전망했다.
내년에는 5300대의 판매 목표를 다시 잡았다. 연평균 76%의 성장을 통해 2014년에는 1만6000대를 판매해 중국 시장에서 1위 브랜드로 올라서겠다는 것이다.
강 법인장은 “중국 로컬 제품과 차별화된 생산으로 케파를 확대할 것”이라면서 “영업망의 셋업이 거의 끝났고, 굴삭기 영업과의 시너지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사업전략을 설명했다.휠로더 제작과정에서 운전실 저소음, 냉각성능 향상 등 기술 적용을 통해 중국 로컬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