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휴전상태인 환율전쟁의 재개 여부가 미국의 양적완화 규모에 달렸다.
미국이 2~3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대규모 추가 자산 매입책을 내놓는다면 달러화가 급락하고 엔화와 신흥국 통화가치가 급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각국이 자국 통화의 절상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하면 지난달 23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이후 멈췄던 통화전쟁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일본은 미국이 대규모로 달러를 풀어 엔화가치가 급등하면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일본은행은 지난달 28일 금융정책결정회의 직후 다음 회의를 애초 예정했던 15, 16일에서 FOMC 직후인 4, 5일로 열흘 이상 앞당기겠다고 발표했다. 따라서 미국의 강력한 경기부양책이 나온다면 `엔고 대응책'으로 맞불을 놓을 가능성이 있다.
일본뿐 아니라 캐나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도 최근 자국통화 방어를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미국의 이번 조치에 따라 환율전쟁이 다시 촉발될 가능성은 열려 있는 상태다.
현재 미국의 추가 양적 완화 규모에 대한 시장의 관측은 제각각이다. 그러나 대체로 5000억∼2조달러 규모 정도의 자산매입 조치가 단계적으로 시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FOMC가 다가올수록 양적완화 규모는 시장의 충격을 주지 않을 정도일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미 CNBC는 최근 83명의 이코노미스트와 채권.주식 펀드 매니저 등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추가 양적 완화 규모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균치가 4570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중순에 했던 조사 때의 평균값 4900억달러 보다는 줄어든 수준이다.
여기에 미국 중간선거가 끝난 이후 미 FOMC 회의 결과가 발표되는 만큼 정치적 부담도 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미국의 추가 유동성 공급이 단행되면 달러화는 약세로 가고 원달러 환율은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 유동성 공급 규모가 당초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 단기적으로는 달러화가 반등할 가능성도 있지만 달러 약세라는 큰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도 단기 급락을 피할 수 있겠지만 점진적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