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BIS비율, 아시아 10대 은행보다 낮아"

입력 2011-06-27 09: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은행그룹의 재무 건전성이 아시아 및 글로벌 10대 은행그룹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수익 기반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융연구원 서병호 연구위원은 27일 '국내외 은행그룹의 경영실적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은행그룹의 자본적정성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아시아 및 글로벌 10대 은행그룹보다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 위원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은행그룹의 경영실적은 아시아와 글로벌 10대 은행그룹과 비교분석한 바에 따르면 국내 은행그룹은 수차례 증자를 통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2007년 11.7%에서 2010년 12.6%까지 높였으나 지난해 기준 아시아 10대(13.8%)나 글로벌 10대(14.9%) 수준은 여전히 밑돌았다.

국내 은행그룹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여러 차례 증자를 했음에도 BIS비율이 상대적으론 낮은 이유에 대해 서 위원은 "국내 은행그룹의 무수익여신비율이 지난해 말 기준 2.1%로, 2009년 말 1.2%보다 75.0% 상승하는 등 자산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내 은행그룹은 아시아 및 글로벌 10대 은행그룹과는 달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존의 수익기반이 취약해지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서 위원에 따르면 아시아 10대 은행그룹은 지난해 연결기준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2007년에 비해 각각 47.0%, 66.7%가 증가했고 글로벌 10대도 같은 기간 연결기준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각각 43.6%, 16.8%가 증가했다.

그러나 국내 은행그룹의 연결기준 이자이익은 2007년에서 2010년까지 2.0% 증가하는데 그쳤고 비이자이익은 오히려 44.4%가 감소했다.

서 위원은 "대출경쟁 심화로 이자이익 성장세가 둔화됐고 불완전판매 소송 등으로 금융상품 판매가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서 위원은 또 "국내 은행그룹은 부실자각 매각과 증자로 자본적정성을 강화하는 한편 기존 수익기반의 약화에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투자은행 부문의 육성이나 해외진출 확대 등 새로운 수익기반 창출을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20,000
    • -1.12%
    • 이더리움
    • 4,171,000
    • +2.38%
    • 비트코인 캐시
    • 495,100
    • -1.47%
    • 리플
    • 4,047
    • -2.46%
    • 솔라나
    • 276,600
    • -5.05%
    • 에이다
    • 1,203
    • +2.47%
    • 이오스
    • 966
    • -0.62%
    • 트론
    • 372
    • +3.62%
    • 스텔라루멘
    • 516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250
    • -0.08%
    • 체인링크
    • 29,230
    • +1.99%
    • 샌드박스
    • 605
    • +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