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美훈풍에도 수급 악화에 약세

입력 2011-08-04 09: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사흘째 약세다. 뉴욕증시가 경기 부양 기대감에 반등했다는 소식에도 불구하고 힘을 받지 못하는 모습이다.

오전 9시 2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45포인트(0.12%) 내린 2063.81을 기록하고 있다.

밤 사이 뉴욕증시는 경기 부양 기대감에 9일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부진한 경제 지표가 발표됐지만 장 후반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양적완화(QE) 조치 등 경기 부양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호재로 작용했고 이에 뉴욕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이에 코스피 역시 상승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코스피는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수급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 시각 현재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66억원, 276억원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개인이 나홀로 매수에 나서고 있지만 지수 상승을 이끌지는 못하고 있다. 개인은 1100억원을 순매수 중이다.

프로그램에서 대규모 물량을 장 초반 부터 쏟아내고 있다. 차익, 비차익 거래 모두 매도 우위를 보이며 1085억원을 팔아치우고 있다.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의료정밀 업종이 2% 넘게 오르며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한 가운데 전날 상승폭이 컸던 운송장비(0.31%) 업종이 소폭 오르고 있다. 금융업, 비금속광물, 은행, 건설업 등도 상승 중이다.

반면 화학 업종은 전날의 하락세를 이어가며 1% 넘게 떨어지고 있다. 철강.금속(-0.82%), 서비스업(-0.49%), 전기.전자(-0.40%) 등도 약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혼조세다. 자동차 3인방이 일제히 오르고 있다. 현대모비스가 1% 넘게 오르고 있으며 현대차(0.23%)와 기아차(0.79%) 소폭 상승 중이다. 하이닉스는 2% 넘게 오르고 있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1% 가까이 내리고 있는 가운데 LG화학(-2.22%), S-Oil(-1.29%), SK이노베이션(-0.23%) 등 정유화학주들이 동반 하락하고 있다. 포스코(-1.24%), 삼성생명(-0.71%), 한국전력(-0.40%) 등은 내리고 있으며 현대중공업은 보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65,000
    • +0.66%
    • 이더리움
    • 4,060,000
    • +0%
    • 비트코인 캐시
    • 478,000
    • +0.17%
    • 리플
    • 4,006
    • +4.57%
    • 솔라나
    • 255,300
    • +0.59%
    • 에이다
    • 1,167
    • +2.64%
    • 이오스
    • 949
    • +2.71%
    • 트론
    • 356
    • -1.93%
    • 스텔라루멘
    • 505
    • +1.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50
    • -0.18%
    • 체인링크
    • 26,970
    • +0.19%
    • 샌드박스
    • 547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