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A씨는 처음에 은행을 사칭한 사람에게서 “누군가 당신의 돈을 인출하려고 해서 경찰에 신고했다”는 전화를 받았다. 이후 경찰을 가장한 사람이 A씨에게 “당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연락이 왔고 잠시 후엔 금융감독원 직원이라는 사람이 “다른 은행의 안전한 계좌로 돈을 옮겨야 한다”고 유도했다. 다양한 기관에서 전화를 받은 A씨는 의심 없이 계좌이체를 하려고 우체국에 갔다. 하지만 다행히 근무중이던 직원이 제지해 피해를 입지 않았다.
A씨의 경우처럼 정보유출을 빙자해 지능화된 방법으로 속여 돈을 뜯어내는 보이스 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는 올해 상반기(1∼6월)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활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개인정보 유출을 미끼로 돈을 가로채는 수법이 전체 76건 중 44건으로 58%를 차지했다고 4일 밝혔다.
사기범이 전화로 “개인정보가 유출됐으니 안전한 계좌로 돈을 옮겨야 한다”고 거짓말하면서 남의 돈을 가로채는 수법이 가장 많은 것이다.
그 외 속임수로는 ‘납치 가장’이 9건, ‘신용카드 연체·도용’이 8건, ‘전화요금 연체’ 등 기타가 15건이다. 올 상반기 우본의 피해예방 금액은 총 11억8000만원에 이른다.
우본은 “최근 금융기관과 인터넷 사이트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잇따르자 사기범들이 국민의 높아진 불안감을 노리고 범행을 저지르는 것으로 보인다”며 “전국 우체국에서 보이스 피싱 피해예방 활동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