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생활자금 마련에 적신호가 켜졌다.
‘생계형 가계대출’규모가 25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대출금리도 올라 빚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은행과 제2금융권 가계대출에서 주택대출을 제외한 기타대출 잔액은 245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9.1%나 늘어났다.
4분기 중 기타대출이 8조4000억원정도 증가할 경우 올해 말 기타대출 잔액은 25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대출은 생활비 마련이 주목적인 마이너스통장 대출, 신용대출, 예·적금담보대출, 동산대출 등이 포함된다.
이 같은 생계형 대출은 은행과 제2금융권에서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올해 3분기 은행의 기타대출은 146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대비 5.1%증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9년 1분기 7.1%이후 최대폭이다.
2009년 들어서면서 은행의 기타대출 증가세가 둔화됐으나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폭이 확대된 것이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기타대출 잔액은 98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에는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 신협 등 제2금융권을 포함돼 있다.
100조원을 바라보는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기타대출 잔액은 지난해보다 15.7% 늘어났다. 전분기 19.0% 보다는 소폭 둔화댔지만 1년9개월째 두자릿수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이 생계형 대출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대내외적으로 열악한 경제 상황에 직면한 서민들이 생활비 자금을 마련을 마련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쉬운 마이너스통장대출이나 예·적금담보대출을 이용한다는 배경이 크다.
일각에선 소비의 목적인 생계형 대출 상환이 순조롭게 이뤄지기 힘들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마이너스통장대출을 주로 포함하는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 지난 9월 연 8.27%를 기록했다. 이는 2008년 12월 8.35% 이후 거의 3년 만에 8%대에 진입한 수준이다. 10월에도 8.22%를 유지했다.
지난 10월 500만원 미만 소액대출 금리는 연 7.02%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두 차례를 제외하면 2009년 11월 7.12%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높았다. 예·적금담보대출 금리도 5.47%로 지난해 8월 5.48% 이후 약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