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은행업황은 규제 및 제도변경 등으로 인한 이익감소가 예상돼 긍정적인 상황은 아니지만 대손비용 하락으로 추가상승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우리투자증권은 28일 한국거래소에서 은행업종 전망에 대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은행업의 NIM(순이자마진)과 대손비용 하락 수준에 따라 주가 향방이 결정될 것 것이라고 밝혔다.
유로존 위기 완화로 은행업종지수는 연초대비 15.3% 오르며 코스피 상승률 10.6%를 넘어섰다. 최진석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경기선행지수 반등이 지속될 경우 대손비용률의 하향 안정화가 가능하고 NPL(부실채권)비율도 작년부터 회복기조에 진입했다”며 “은행업종의 레버리지(자산/자본 배수)도 하락추세에 있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은행업종의 ROE(자기자본이익률)이 다른 섹터보다 양호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지방은행의 ROE는 13.5%로 시중은행의 10% 내외보다 높아 지방은행금융지주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더 양호하다고 판단한다”며 “BS금융을 업종내 최선호주로 제시한다”고 말했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외환은행 인수로 인해 올해 1분기부터 재무적 효과가 본격화될 하나금융과 기업대출 비중이 높아 향후 기업대출 관련 신규부실이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은 우리금융을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