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노는 물이 다르다.”
금융투자업계 절대 갑인 기관 큰손들이 최근 금융투자업계 주요 고위직을 속속 접수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쌍용, 삼성, 대우, 한투 출신들 특정인맥이 금융투자업계 인맥 사관학교로 대변됐다면 올 들어선 국민연금 등 주요 기관 출신 큰손들이 여의도 큰손으로 떠오르는 추세가 뚜렷하다.
특히 운용자금만 300조원을 넘나드는 국민연금 출신들의 약진이 돋보인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3/20120315144259_185714_100_90.jpg)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3/20120315144259_185713_100_138.jpg)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3/20120315144258_185712_100_134.jpg)
여기에 장재하 전 국민연금 증권운용실장도 교보증권 자산금융본부장으로 최근 자리를 옮겼다. 현재 장 본부장은 채권운용팀, 트레이딩, 상품운용, 금융상품 1,2팀을 모두 총괄하며 교보증권의 곳간지기 역할을 수행중이다. 현대자산운용도 지난해 말 국민연금 기금운용실장 출신인 하용호 전무를 영입했다. 하 전무는 경영기획 및 마케팅 총괄업무를 담당중이다.
전 국민연금 운용전략실장 출신인 김희석씨도 지난해 말 대한생명 자산운영 본부장으로 선임돼 50조원이 넘는 뭉칫돈을 주무르고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3/20120315144259_185715_100_131.jpg)
일각에선 깐깐해진 기관 내부 규정 때문에 전문인력들이 업계로 빠져나온다고 바라보면서도, 장기적으론 전문화된 운용 능력으로 시장 활성화에 득이 될거란 긍정적인 반응이 컸다.
변동성이 절정인 최근 장세 흐름상황을 지켜볼때 아무래도 큰 물에서 놀아본 선수들이 제대로 시장을 파악해 운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기관은 통상 3년에서 5년, 그리고 10년 이상 대규모 장기자금을 운용하고 다양한 에셋얼로케이션 감각으로 장기 투자를 집행해 시장감각이 탁월할 수 밖에 없다”면서 “업계에 기관출신 인력들이 유입되므로 단기 시장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소신있는 투자원칙 운용 사례가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