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장’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은 급등하는 인건비를 최대 리스크로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일(현지시간) ‘중국 진출 일본기업 설문조사’에서 중국 사업의 최대 리스크로 ‘인건비 상승’을 꼽은 응답률이 59%로 가장 높았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성장 둔화’를 걱정한 응답률은 35%로 다음으로 높았다.
위안화 강세로 부담이 큰 가운데 현지 인건비까지 상승하면서 현지 진출 기업들은 실적까지 압박을 받고 있었다.
조사에서 지난해 임금을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인상한 기업 비율은 77%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중국 사업의 실적 전망이 10% 이상 줄어든 기업은 19%로 20%에 육박했다.
2010년 4%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인건비 상승이 실적을 압박하는 구도가 계속되는 셈이다.
지난해 3월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도 중국 사업에 우려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본발 소재 및 부품, 완성품 공급이 끊기면서 응답 기업의 52%가 중국 사업에 차질을 초래했다고 답했다.
이 중에는 일본 내 공급처 다양화와 중국 현지 조달 확대 등 부품의 서플라이체인(공급망)을 재점검해 향후 천재지변 리스크에 대비하려는 움직임도 두드러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기업들은 올 가을 예정된 중국 공산당의 지도부 교체 후 사업 환경 변화에 대한 경계심도 나타냈다.
지도부 교체로 사업환경과 경영환경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40%에 달했다.
올해 중국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해서는 ‘8%대 초에서 9% 미만’이라는 응답률이 53%로 가장 높았다.
‘7%대 초에서 8% 미만’이라는 응답률은 38%로 두 번째로 높았다.
경기 부양 차원의 금리 인하 등 금융완화에 대해서는 ‘7~9월 사이에 이뤄질 것’이라는 응답률이 28%로 가장 높았다.
4~6월 사이에 이뤄질 것이라는 응답률도 24%에 이르렀다.
다양한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글로벌 전략의 요충지라는 인식에는 변함이 없었다.
중국 진출 기업들 사이에서는 인재 등의 현지화와 시장 개척을 서두르는 움직임이 강했다.
중국인을 현지 최고경영자로 두고 있다는 응답률은 30%가 넘었다. 간부급으로 확대하면 인재의 현지화는 90%에 가까웠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 거래 규제를 완화하면서 무역 결제 시 위안화로 직접 결제하는 기업도 두드러졌다.
위안화 결제를 이미 시작했다는 응답률은 17%, 계획 중이라는 응답률은 28%에 달했다.
신문은 일본 기업들이 인재와 자금 면에서 현지화를 서두르는 것은 중국 시장 개척이 그만큼 시급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사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현지 판매 비율이 80% 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54%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