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대선출마 이후 처음으로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안 보는 19일 “만약에 국민이 원해 단일화 과정이 생긴다면 거기서도 이겨서 끝까지 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이날 강원도를 방문해 “끝까지 갈 것”이라고 했던 자신의 말을 두고 ‘끝까지’ 라는 것이 단일화를 포함한 것이냐’고 기자들이 묻자 이 같이 답했다.
그간 안 후보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의 단일화 여부를 묻는 계속된 질문에도 단일화에 대한 언급은 피해왔다. 직접 단일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출마선언에서 ‘정치권 쇄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는데, 이 정도면 정치쇄신이 됐다, 또는 확실히 될 것 같다는 희망을 다 포함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단일화의 전제조건이 정치쇄신임을 거듭 밝히기도 했다.
안 후보가 이처럼 단일화 의지를 표명함에 따라 그간 안 후보 주변에서 제기된 ‘11월 단일화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안 후보 캠프 핵심 인사들은 최근까지 단일화에 대한 언급 자체를 최대한 자제해왔지만 내부적으로 단일화는 불가피하며, 11월 초 시민사회단체가 주도하는 형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는 소문이 돌았다. 안 후보의 이날 언급도 이 같은 시나리오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안 후보 측이 이처럼 11월 초 제3지대에서 단일화하는 방안을 시도하는 건 협상 주도권을 가져오는 동시에 시간끌기를 통해 경선방식을 ‘여론조사 경선’ 등으로 단순화하기 위한 것이란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달을 넘겨 본격적으로 단일화 방법과 시기 등을 조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감안하면 물리적으로도 ‘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은 무리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선거인단을 통해 단일화를 할 경우 상대적으로 조직력과 동원력이 강한 문 후보가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계산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공동 정치혁신위원회’를 구성해 단일화를 논의하자는 민주당의 제안을 거부한 것, 또 안 후보의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장하성 고려대 교수가 뜬금없이 “여론조사 지지율이 높은 안철수 후보 쪽으로 단일화돼야 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한편 안 후보는 단일화가 불발될 경우에 대해 “만약에 그렇다면 (세 후보 중) 누가 적합할지는 국민들이 판단하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