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재활사 국가시험 응시자 모임은 14일 오후 5시부터 종로구 계동 보건복지부 앞에서 촛불집회를 열었다.
이날 촛불 집회는 전국에서 모인 언어치료전공대학(원)생 등 약 900여 명이 모였으며 '영상 및 퍼포먼스', '구호제창' 등의 순으로 저녁 8시까지 진행됐다.
이들은 올해 처음 치러지는 언어재활사 국가시험이 의사가 포함된 비전공 교수의 시험문제 출제로 파행을 맞고 있다며 집단 반발하고 있다. 언어재활사는 신체ㆍ지적장애인이 겪는 언어 구사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재활치료 전문가다. 지난해 국가자격으로 전환돼 오는 25일 첫 국가 시험이 실시된다.
한국언어재활사협회는 이번 시험 운영을 위탁받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이 9명 가운데 5명을 의사 등 비전문가 출제위원으로 위촉해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최예린 명지대 언어치료학과 교수는 "국가시험 출제위원에 재활의학과 전공의 등 비전문가가 들어갔고 언어재활사협회 쪽에서는 한 명도 출제위원에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의사는 언어치료학을 배우지 않으므로 학생들이 전혀 배우지 못한 문제를 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언어치료학과 4학년생인 김모(23ㆍ여) 씨는 "국가고시 특례시험은 실습 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전공자들도 '필기시험'만으로 언어재활사 자격증을 얻게 된다"면서 "임상실습을 거친 재학생들을 역차별하는 것으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