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추가 인하 검토

입력 2014-03-30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은행권이 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일제히 내리고, 대출 비중을 늘리기 위해 추가 금리 인하도 검토하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기업·신한·외환·우리·하나 등 주요 6개 시중은행은 최근 혼합형 대출 금리를 0.15~0.55%포인트 인하했다. 혼합형 대출은 첫 3~7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코픽스(COFIX; 자금조달비용지수) 등에 연동하는 변동금리로 전환된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이들 6개 은행의 혼합형 대출 잔액은 약 46조4000억원이다. 신한은행은 혼합형 대출인 '신한 금리안전 모기지론'의 금리(3년 고정형)를 최근 연 3.45~4.15%로 내렸다. 지난 1월보다 0.05~0.55%포인트 낮아졌다.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0.20%포인트씩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하했다. 우리은행 'iTouch 아파트론' 금리는 한 달 전 3.45~3.85%에서 최근 3.27~3.67%로 내려갔다. 기업은행 'IBK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81~4.67%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은 0.15%포인트씩 내렸다. 외환은행 'Yes 안심전환형 모기지론'은 3.38~3.41%, 하나은행 '하나고정금리 모기지론'은 평균 3.77%다.

혼합형 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기존 변동형 대출과의 금리 격차는 거의 사라졌다. 일부 은행에선 혼합형 금리가 더 유리해진 경우도 생겼다.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주요 시중은행의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금리(분할상환방식)는 3% 중반에서 4% 초반 사이다.

은행들이 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앞다퉈 낮추는 이유는 금리 인상에 취약한 변동형 대신 혼합형과 고정형 대출을 늘리도록 한 금융당국의 지도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평균 21%인 혼합형 대출의 비중을 올해 지속적으로 높일 방침이다.

국민, 신한, 외환, 하나 등 주요 시중은행이 혼합형 대출 특판에 돌입한 데 이어 최근 금리 인하에 더해 추가 인하를 검토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대출금리 하락 '기대감'
  • MWC 출격하는 이통3사…AI 패권 경쟁 불붙었다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차세대 AI PC 시장 공략"…삼성D, 인텔과 협력 '맞손'
  •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8% 올랐다
  • 50년 뒤 성장률 0.3%ㆍ나랏빚 7000조 돌파, 연금 2057년 고갈
  • '손흥민 8·9호 도움' 토트넘, 입스위치 꺾고 리그 12위 '유지'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231,000
    • -0.97%
    • 이더리움
    • 4,111,000
    • +2.06%
    • 비트코인 캐시
    • 482,000
    • +2.49%
    • 리플
    • 3,766
    • -1.36%
    • 솔라나
    • 248,900
    • -2.66%
    • 에이다
    • 1,134
    • +0.18%
    • 이오스
    • 949
    • +2.04%
    • 트론
    • 356
    • +2.01%
    • 스텔라루멘
    • 485
    • -0.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950
    • +1.63%
    • 체인링크
    • 26,080
    • +0.42%
    • 샌드박스
    • 518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