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일제히 내리고, 대출 비중을 늘리기 위해 추가 금리 인하도 검토하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기업·신한·외환·우리·하나 등 주요 6개 시중은행은 최근 혼합형 대출 금리를 0.15~0.55%포인트 인하했다. 혼합형 대출은 첫 3~7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코픽스(COFIX; 자금조달비용지수) 등에 연동하는 변동금리로 전환된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이들 6개 은행의 혼합형 대출 잔액은 약 46조4000억원이다. 신한은행은 혼합형 대출인 '신한 금리안전 모기지론'의 금리(3년 고정형)를 최근 연 3.45~4.15%로 내렸다. 지난 1월보다 0.05~0.55%포인트 낮아졌다.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0.20%포인트씩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하했다. 우리은행 'iTouch 아파트론' 금리는 한 달 전 3.45~3.85%에서 최근 3.27~3.67%로 내려갔다. 기업은행 'IBK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81~4.67%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은 0.15%포인트씩 내렸다. 외환은행 'Yes 안심전환형 모기지론'은 3.38~3.41%, 하나은행 '하나고정금리 모기지론'은 평균 3.77%다.
혼합형 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기존 변동형 대출과의 금리 격차는 거의 사라졌다. 일부 은행에선 혼합형 금리가 더 유리해진 경우도 생겼다.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주요 시중은행의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금리(분할상환방식)는 3% 중반에서 4% 초반 사이다.
은행들이 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앞다퉈 낮추는 이유는 금리 인상에 취약한 변동형 대신 혼합형과 고정형 대출을 늘리도록 한 금융당국의 지도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평균 21%인 혼합형 대출의 비중을 올해 지속적으로 높일 방침이다.
국민, 신한, 외환, 하나 등 주요 시중은행이 혼합형 대출 특판에 돌입한 데 이어 최근 금리 인하에 더해 추가 인하를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