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본사 부지 개발] 삼성·현대차 각축, 美·中기업 가세 ‘한전發 삼국지’

입력 2014-04-03 11: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남 교통요충지에 규모·위치 뛰어나… 고도제한 등 변수 없어 개발 순조

▲한전부지 개발 예상 조감도.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일대의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한전 부지의 새 주인이 누가 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선 국내 재계 서열 1·2위인 삼성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이 이 땅을 놓고 각축을 벌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녹지그룹 등 외국 기업도 부지 매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3일 서울시와 업계에 따르면 한전 본사는 축구장 크기의 11배(7만9342㎡) 규모로 삼성역, 코엑스 일대 강남 최대 상권과 인접해 있는 서울 마지막 노른자위 땅으로 꼽힌다. 공시지가만 1조5000억원에 달하며 시세를 감안하면 2조~4조원대로 추정된다.

서울시내 미개발 부지 중 규모와 위치 등이 모두 압도적으로 뛰어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특히 인근에 파크하얏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등 특급호텔이 다수 위치한 데다 대형 컨벤션센터인 코엑스가 있는 점도 매력으로 꼽힌다. 또 도심에 적용되는 고도제한이나 유물 발굴 같은 돌발 변수도 없어 개발 과정에서 어려움도 적을 것으로 보인다.

2009년 삼성물산과 포스코 컨소시엄이 한전 부지 일대를 복합상업시설로 개발하는 방안을 내놓았을 만큼 업계에서는 이곳의 가치를 높게 보고 있다. 이미 삼성그룹은 삼성생명을 통해 2011년 인근 한국감정원(1만989㎡) 부지를 2328억원에 매입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왔다.

업계에서는 삼성이 한전 부지까지 통째로 매입해 통합 개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면서도 “다만 구체적인 계획은 수립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인근 지하철역 이름이 ‘삼성역’이란 점도 삼성그룹에 매력적이다. 지난해 5월 당시 변준연 한전 부사장은 “본사 인근 지하철 역명과 발음이 같은 삼성그룹이 삼성동 한전 부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적극적이다. 현대차 서울 양재동 본사는 공간이 협소한 데다 건물만 우뚝 솟은 오피스 빌딩 형태라 오래전부터 자동차 기업의 철학을 제대로 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현대차는 서울 뚝섬에 110층짜리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설 계획을 세웠지만, 서울시가 초고층 건축 관리기준을 내놓으면서 무산됐다. 이 프로젝트는 2조원을 투자해 지은 초고층 빌딩에 그룹 전 계열사를 입주시켜 3만여명의 직원을 한 데 모으고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연구개발(R&D) 기능도 통합한다는 청사진이었다.

계동의 현대차 영업본부, 압구정동의 기아차 영업본부 등과 현대모비스 등을 한 데 합쳐야 하는 현대차로서는 한전 부지 만한 규모를 찾기 힘들다. 강남의 교통요지인 데다 특급호텔, 코엑스가 인접한 점도 매력 포인트다. 현대차 관계자는 “독일 폭스바겐이나 BMW와 같이 전시장 또는 박물관을 갖추고 도심에 있는 새로운 본사 단지를 신축할 필요성이 있다”며 “다만 한전 부지와 관련해선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중국 최대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녹지그룹도 한전 부지 매입에 대한 사업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중국 상하이시가 51%의 지분을 갖고 있는 녹지그룹은 지난해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금액이 10조원을 넘어설 만큼 막대한 자금력을 토대로 해외 부동산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계 카지노그룹인 라스베이거스 샌즈도 최근 서울시 측에 카지노 시설을 포함한 대규모 전시·컨벤션 단지 조성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한전 부지의 매각 대금과 서울시의 사전협상제도를 개발의 최대 변수로 보고 있다. 한전 측은 아직 사옥 부지 매각 방식이나 절차, 매각대금 규모를 확정하지 않은 상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것은 땅값”이라며 “민간 자본이 얼마나 적정한 가격에 매입하느냐가 사업성을 좌우한다”고 말했다.

◇사전협상제도란? 1만㎡ 이상 대규모 부지를 매입한 민간 사업자가 개발계획을 세울 때 미리 서울시와 협의하는 제도다. 서울시가 제시하는 지역특화 산업이나 건축물 높이 등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 또 토지의 용도지역이 조정돼 용적률이 높아지는 대신 개발이익 환수 차원에서 부지의 20~48%를 공공기여(기부)해야 한다. 민간이 개발하더라도 최대한 공익적 개발을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비상계엄 선포는 통치행위…어떻게 내란 되나”
  • 내란 특검·김건희 특검·‘내란 가담자’ 탄핵안까지 모두 본회의 통과
  • ‘입시 비리·감찰 무마’ 조국, 대법서 징역 2년 확정…의원직 상실
  • 내년 공공주택 ‘25만가구+@’ 공급될까… 3기 신도시 본청약·신축매입 확대 속도[종합]
  • 연봉 9000만 원 배우자 원한다고? 신혼부부 현실은… [그래픽 스토리]
  • ‘투자경고’ 19종목 중 15개 이재명 테마주…“과열 주의”
  • 유니클로 인기가 '가성비' 때문이라고요? [솔드아웃]
  • 단독 서울시 마약 행정처분 ‘구멍’...첫 영업정지 강남업소, 과징금 내고 빠져나가
  • 오늘의 상승종목

  • 1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651,000
    • +2.45%
    • 이더리움
    • 5,613,000
    • +5.71%
    • 비트코인 캐시
    • 782,000
    • +2.49%
    • 리플
    • 3,432
    • +2.2%
    • 솔라나
    • 328,500
    • +2.3%
    • 에이다
    • 1,617
    • +5.82%
    • 이오스
    • 1,588
    • +4.61%
    • 트론
    • 429
    • +8.88%
    • 스텔라루멘
    • 617
    • +2.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100
    • +4.3%
    • 체인링크
    • 39,390
    • +19.11%
    • 샌드박스
    • 1,124
    • +6.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