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4400억 당기순손실...적자회사 41개 달해

입력 2014-05-0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업대출 연체율 ↓, 가계대출 연체율 ↑

금융감독원은 올해 3월 말 기준 88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이 440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적자폭이 4563억원 줄었다고 8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 중 누적 당기순손실이 440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부실여신 축소 등으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3039억원 가량 크게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1년전과 비교하면 적자폭이 4563억원 축소됐다.

특히 올해 1~3월 중 당기순손실이 237억원으로 2013회계연도 1분기(7~9월) 1238억원, 2분기(10~12월) 2926억원과 비교하면 크게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적자 저축은행 수는 41개사로 지난해 동기(54개사)대비 13개사가 감소했다.

3월 말 현재 총 자산은 37조8000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1조2000억원(3.0%) 감소했다. 이는 자산운용처의 부재 등으로 대출금이 8000억원 정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총 부채는 3월말 기준 33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조7000억원(4.7%) 줄어들었다. 이는 저금리 영향으로 자산운용이 어려워 적극적인 수신확대 전략을 취하지 않아 예수금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연체율은 20.4%로 지난해 말(20.2%) 대비 0.2%p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25.0%)은 0.4%p 떨어졌고 가계대출 연체율(12.2%)은 1.1%p 상승했다. 연체율은 상승했지만 고정 이하 여신비율은 21.2%로 지난해 말 대비 0.5%p 하락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은 13.15%로 지난해 말(11.16%)보다 1.99%p 상승했다. 대출금 등 위험 가중 자산은 1.9% 줄어든 반면, SBI계열 저축은행의 유상증자 등으로 자기자본이 15.6%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금감원은 “당기순손실이 축소되고 BIS비율이 상승하는 등 일부 영업실적이 개선됐으나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면서 “저축은행의 경영정상화 노력을 적극 지원해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 금융 중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81,000
    • +0.61%
    • 이더리움
    • 4,061,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478,800
    • +0.52%
    • 리플
    • 3,996
    • +4.55%
    • 솔라나
    • 254,800
    • +0.79%
    • 에이다
    • 1,163
    • +1.75%
    • 이오스
    • 949
    • +2.82%
    • 트론
    • 355
    • -1.93%
    • 스텔라루멘
    • 503
    • +1.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600
    • -0.09%
    • 체인링크
    • 26,900
    • +0.11%
    • 샌드박스
    • 546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