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생활에 대한 걱정에 ‘불안장애’ 를 겪는 70대 이상 노인층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불안장애 환자는 2008년 39만8000명에서 2013년 52만2000명으로 1.3배 늘었다.
지난해 기준으로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 인원은 70대이상(3051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60대(2147명)·50명(1490명) 등의 순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을 수록 불안장애를 겪는 이들은 많았다. 특히 70대이상에서 불안장애 환자 수는 3051명으로, 60대 이하 877명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성별로는 인구 10만명당 여성 환자 수가 1401명으로 남성(807명)의 1.7배였다.
윤지호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젊은 시절 자식과 가족을 위해 노후 대비에 소홀했던 어르신들이 나이 들어 의지할 곳 없이 노년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면 불안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또 “단순히 경제적인 것 뿐 아니라 건강에까지 문제가 생기면 돌봐줄 사람을 예측할 수 없다는 것도 불안 상승의 큰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각종 공포증과 공황장애 등을 포함하는 불안장애는 병적인 불안과 공포가 주요 증상이다. 하지만 단순히 정신적 이상 뿐 아니라 교감신경 활성과 함께 가슴 두근거림·빈맥(심박수가 분당 100을 넘는 상태)·혈압 상승·과호흡·어지러움·두통·빈뇨 등 신체적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노르에피네프린·세로토닌·감마아미노뷰티르산(GABA) 등 뇌신경 내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경우, 유전적 요소, 경험·정보를 해석·판단하는 인지행동 차원의 문제 등이 모두 병적 불안을 촉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과정에서도 항우울제·항불안제 등 약물과 인지행동 교정이 병행돼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지행동 치료는 주로 불안을 유발하는 생각이나 상황을 환자 스스로 깨닫게 하고, 이런 요인들에 대한 노출을 점차 늘려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윤 교수는 “검사 상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어지러움증, 가슴떨림, 호흡곤란, 소화장애 등의 증상이 계속 될 때는 불안장애를 의심해봐야 한다”며 “오래 방치할 경우 뇌기능과 심혈관기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빨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찾아 자문을 구하고 치료 전략을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