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백화점판매 전국 모든 시도서 감소…전년비 5.2%↓

입력 2014-08-12 13: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통계청 ‘2분기 지역경제동향’

지난 2분기 전국 모든 시도의 백화점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백화점판매는 작년 동기 대비 5.2% 줄었다. 서울(-4.0%), 부산(-7.7%), 대구(-8.6%), 인천(-4.1%), 광주(-14.8%), 대전(-3.5%), 울산(-8.4%), 경기(-3.4%), 충북(-2.6%), 경남(-6.9%) 등 집계 대상 지역 10곳 모두에서 감소했다.

대형소매점 판매액 기준으로 전국 2분기 소비는 작년 동기보다 0.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6개 시도 중 12개 시도나 소비가 줄었다. 광주(-10.9%)와 충북(-9.3%)은 신발·가방, 의복 등의 부진으로 소비가 많이 줄었다. 소비가 늘어난 지역도 제주(9.5%)를 제외하고는 서울(1.8%), 충남(1.4%), 경기(0.8%) 등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같은 기간 전국 광공업 생산은 대전(9.7%), 광주·경기(6.6%) 등은 자동차, 전기부품 등의 호조로 증가세였고 세종(-11.0%), 전남(-6.1%), 경남(-4.4%) 등은 전자부품, 선박 등의 부진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고용은 전국 취업자 수가 전년동기대비 1.8% 늘었다. 광주(5.2%), 경기(4.1%), 충북(3.9%) 등 13개 시도는 음식·숙박업과 제조업, 도소매업의 호조로 취업자 수가 증가한 반면, 울산(-0.9%)과 전북·전남(-0.6%)은 도소매업과 제조업, 농림어업 부진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소비자물가는 주택·수도·광열, 의류·신발 등의 가격이 오르면서 전국적으로 작년 동기보다 1.6% 올랐다. 충남(0.7%)과 강원(1.0%) 등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지만 광주(2.1%)와 서울·경남(1.8%) 등은 전국 평균보다 상승률이 다소 높았다. 전국 건설수주는 세종(635.6%)과 울산(245.5%), 대전(201.9%) 등에서 주택과 철도·궤도 등의 수주 호조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전북과 제주는 각각 -69.9%, -33.4%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기본으로 돌아간 삼성전자…'기술-품질' 초격차 영광 찾는다
  • "비트코인 살 걸, 운동할 걸"…올해 가장 많이 한 후회는 [데이터클립]
  • 베일 벗은 선도지구에 주민 희비 갈렸다…추가 분담금·낮은 용적률이 ‘복병’[1기 선도지구]
  • [2024마켓리더대상] 위기 속 ‘투자 나침반’ 역할…다양한 부의 증식 기회 제공
  • 어도어ㆍ빅히트, 쇄신 바람 불까…위기 속 등장한 '신임 대표'들 [이슈크래커]
  • “117년 만에 폭설도 못 막지”…올림픽파크포레온 1.2만 가구 입주장 개막에 '후끈' [르포]
  • 목소리 높이는 소액주주…상법개정안 가속 페달 달까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248,000
    • +3.94%
    • 이더리움
    • 5,008,000
    • +7.81%
    • 비트코인 캐시
    • 713,500
    • +3.93%
    • 리플
    • 2,064
    • +4.72%
    • 솔라나
    • 332,300
    • +2.94%
    • 에이다
    • 1,397
    • +5.12%
    • 이오스
    • 1,130
    • +2.08%
    • 트론
    • 278
    • +2.21%
    • 스텔라루멘
    • 691
    • +10.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700
    • +3.33%
    • 체인링크
    • 25,100
    • +4.06%
    • 샌드박스
    • 856
    • -0.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