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경기회복 위해 구조개혁 해야

입력 2014-10-10 08: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계부채 금리만으로는 대처 어려워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소비와 투자를 살리려면 구조개혁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9일 워싱턴 특파원단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지금의 소비나 투자 부진에는 구조적인 영향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구조개선 정책을 병행하지 않으면 (부진에서 벗어나는)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이 총재는 "수출이 성장을 주도하고 내수가 부진하면 고용유발 같은 효과가 작고 체감경기와도 직결된다"며 "성장의 질이라는 문제가 있고 내수기반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표적인 구조적 요인으로 업종(제조업-서비스업, 대기업-중소기업) 간 불균형을 우선 지목하고 서비스업의 생산성 제고를 막는 진입 장벽이나 노동시장 문제 등도 언급했다.

1000조 원을 넘긴 한국의 가계부채와 관련해 이 총재는 "소비를 제약하는 수준에 가까이 가고 있다는 게 일반적 분석"이라고 말했다.이 총재는 "금융위기 이후 다른 나라에서는 가계부채가 억제됐는데 우리나라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소득 증가율을 웃돌고 있어 관리를 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가계부채도 금리만으로 대처할 수 없고 다른 미시적 대책들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최근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 가계부채는 1년간 0.24%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는 "세월호 사태로 8월 금리를 인하하고 나서 개인 소비 심리는 다소 개선됐지만 기업 투자 심리는 나아지지 않았다"며 "금리 인하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난다"고 평가했다.그는 지난 4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0%로 높였다가 지난 7월 3.8%로 낮춘 배경에 대해 "세월호 사건이 결정적이었다"며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아주 위축돼 있어 빨리 개선하지 않으면 경기의 하방 위험성이 더 커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7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3.8%를 제시했지만, 이 총재는 최근 국정감사와 이날 간담회에서 이를 '3% 중반대'로 하향수정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날 발표한 '2015년 및 중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잠재성장률을 3.5%로 추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강야구' 연세대의 반격, 역전 허용하는 최강 몬스터즈…결과는?
  • 한화생명e스포츠, 8년 만에 LCK 서머 우승…젠지 격파
  • 티메프 피해자들, 피해 구제‧재발 방지 특별법 제정 촉구…"전자상거래 사망 선고"
  • 의료계 “의대증원, 2027년부터 논의 가능”
  •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AI 끝이 없다…삼성 AI 제품, 기대치 30%”
  • 현대차 ‘아이오닉 6’, 美 자동차 전문 매체서 ‘최고 전기차’ 선정
  • '장애인 귀화 1호' 패럴림피언 원유민, IPC 선수위원 당선 [파리패럴림픽]
  • 봉하마을 간 이재명, 권양숙 만나 "당에서 중심 갖고 잘 해나가겠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9.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3,736,000
    • +0.14%
    • 이더리움
    • 3,086,000
    • -0.29%
    • 비트코인 캐시
    • 410,300
    • +0.64%
    • 리플
    • 714
    • -0.56%
    • 솔라나
    • 175,000
    • +1.45%
    • 에이다
    • 459
    • +4.08%
    • 이오스
    • 633
    • -0.16%
    • 트론
    • 208
    • +1.46%
    • 스텔라루멘
    • 121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50
    • -0.5%
    • 체인링크
    • 13,930
    • +1.98%
    • 샌드박스
    • 328
    • +0.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