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내 급식·돌봄을 담당하는 학교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이 오는 6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당일 늘봄학교는 정상 운영하고, 급식에 대해서는 식단을 조정하거나 대체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4일 교육부는 시도교육감회의를 개최해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교육공무직 총파업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7월
정부가 늘봄학교 등 학교 내 돌봄 시스템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학교의 역할이 늘면서 교육 직종 간 갈등도 확대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존 업무는 줄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업무가 점점 가중되면서 ‘추가된 업무를 맡지 않기 위해’ 교육 직종 간 갈등이 늘어난다는 분석이다.
1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 브리프 ‘학교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소속 교육공무직원 약 1만5500명(7월 1일 기준)을 대상으로 '마음보듬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지원한다고 8일 밝혔다.
'마음보듬 심리상담 프로그램'은 직무와 관련된 갈등, 대인관계, 우울감 등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육공무직원을 대상으로 전문 상담 기관과 연계해 추진하는 전문 심리상담 프로그램이다.
서울시교
서울시교육청이 오는 9월부터 일할 교육공무직원 759명을 공개 채용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채용은 9개 직종, 759명 규모다. 직종별로 조리실무사가 547명으로 가장 많고, △특수교육실무사 79명 △교육실무사(통합) 46명 △돌봄전담사(전일제·시간제) 40명 등이다.
원서 접수는 오는 10일 9시부터 12일 18시까지 3일간 ‘서울시교육청 교육공
서울시교육청이 내년 3월 1일 자 신규 교육공무직원 758명을 공개채용방식으로 본청에서 통합채용한다고 25일 밝혔다. 지역별 채용 편차를 완화하기 위해 교육지원청별로 채용하던 방식을 본청 통합채용으로 바꿨다.
이번부터 11개 교육지원청별 채용에서 서울시교육청 주관 통합채용으로 바뀌면서 모집 단위도 각 지원청에서 서울 전 지역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응시
서울시교육청이 교육공무직원 채용 공정성 제고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공무직원 공정채용 업무 처리지침’을 제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지침은 최근 공공기관의 공정채용에 대한 관심이 높은 데 따라 ‘서울시교육청 교육공무직원 채용 등에 관한 조례’에서 간략하게 규정하고 있는 채용 절차를 상세화한 것이다. 채용비리 발생시 피해자 구제방안 등을 마련했다
내년부터 서울교육감 소속 교육공무직원은 급여를 교육(지원)청으로부터 직접 지급받는다. 이를 통해 일선 학교의 관련 업무 부담이 경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의 ‘급여 통합지급’을 오는 12월까지 시범운영한 뒤 내년 1월부터 전면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지금까지 각급기관(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육공무직원은 각각 소속돼 있는 기관(학
서울시교육청이 2024년 생활임금을 시간당 1만2140원으로 결정했다. 서울 각급 학교와 교육기관의 단기간·단시간 교육공무직원에게 내년부터 적용된다.
27일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생활임금인 1만2030원보다 0.9%(110원) 인상된 수준으로 내년 생활임금을 책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8월 정부에서 고시한 내년 최저임금 9860원보다 2280원 많은 금
급식과 돌봄 업무에 종사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1일 총파업에 나서자 서울 학교 10곳 중 1곳에서 급식을 정상적으로 운영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유·초·중·고·특수학교 1413곳 중 148곳(10.5%)에서 급식을 정상적으로 운영하지 않았다. 대체급식을 실시한 학교는 총 145곳으로 빵이나 음료 등 대체식
광주시 교육공무직 중 호봉제 회계 직원들 “교섭단체 분리” 요구大法 “업무‧근로조건 큰 차이 없으면 단일교섭이 합당하다” 판단
업무와 근로 조건에 큰 차이가 없다면 호봉제와 연봉제 직원 간 교섭단체 분리보다는 교섭 창구를 단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는 광주광역시가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 판정을
급식조리사·돌봄전담사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가 25일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서울시교육청이 ‘파업대비 상황반’을 운영, 대응 체제 구축에 나섰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1일 최승복 기획조정실장(부교육감 직무대리) 주재로 파업 관련 주요 부서장 회의를 열고 대응 체제를 구축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 관내 교육공무직원은 약 2만명에
경기도교육청은 학교 현장의 안정적 노무관리 지원을 위한 소통 간담회를 연다고 17일 밝혔다.
간담회는 교육지원청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18일과 20일, 21일 사흘간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에서 진행한다.
도교육청은 이번 연수는 교육지원청 담당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현장의 노무관리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수에선 △교
서울 공립학교와 교육기관에서 시급이나 일급을 받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내년 생활임금이 시간당 1만1240원으로 올해(1만1010원)보다 2.1%(230원) 인상된다.
서울시교육청은 5일 서울 지역 주거비와 물가 상승, 자녀 교육비 그리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생활여건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 내년 생활임금을 이같이 결
교육공무직원의 호봉승급을 제한한 규정에 위법한 부분이 없다는 대법원 판단이 유지됐다.
대법원 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교육공무직원 A 씨 등이 경기도를 상대로 낸 임금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A 씨 등은 중·고등학교에서 교육행정, 교육활동 지원 업무 등의 실무를 담당하는 교육공무직원이다. 이들은 공무원
서울시교육청은 교육공무직원 조리원, 돌봄전담사 등 각급 학교 및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1개 직종 총 530명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이번 채용 규모는 △조리사 45명·조리원 292명 △교육실무사(통합) 59명 △돌봄전담사(전일제·시간제) 48명 등이다.
접수는 온라인채용시스템을 이용하며 접수 기간은 이달 27일부터 29일까지다. 응시자 본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교육당국을 상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생계 대책을 마련을 촉구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이번 코로나19 추경 예산안에서 비정규직에 대한 구체적 지원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며 추경 심사가 다시 이뤄져야 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상반기 591명의 교육공무 직원을 채용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채용한 교육공무직원 수 491명에 비해 100명 늘어난 규모다.
채용분야는 조리원(251명), 시간제 돌봄전담사(110명), 유치원 에듀케어강사(64명), 교육실무사(48명), 특수교육실무사(33명) 등 13개 직종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채
교육공무직 초등돌봄전담사의 전임경력을 인정할 때 타 직종과 기준을 달리하는 것은 '평등권 침해의 차별행위'에 해당한다는 국가인권위원회의 판단이 나왔다.
20일 인권위에 따르면 A교육청은 초등돌봄전담사의 전임 경력은 초등돌봄전담사로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기간의 경력만 인정했으며, 다른 직종으로 일한 기간은 경력 산정에서 제외했다.
하지만 A교육
3일부터 보육대란이 현실화할 전망이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등 교육당국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2일 오후 1시부터 6시50분까지 교섭을 진행했지만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학비연대 측의 요구사안은 △전직종 기본급 6.24% 이상 인상 △정규직대비 근속급 차별해소 △복리후생적 처우 차별해소 등이었다. 교육당국은 기본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