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스마트팜 대표주자인 그린플러스가 호주 스마트팜 온실 구축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그린플러스는 1분기 내에 호주 기업 퓨어그린팜과의 스마트팜 공급 계약에 대한 착공에 돌입한다. 그린플러스 관계자는 “공사를 시작하면 빠르면 1분기부터 일정 부분 매출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린플러스는 지난달 호주 기업 퓨어그린
△비씨엔씨, 회사 사업현황 설명 통한 국내 기관투자자들의 회사 이해증진
△오브젠, 회사 이해도 증진, 경영 실적 및 성장 전략 설명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지니언스, 기업 이미지 제고를 통한 투자자 이해 증진
△하이로닉, 기업설명회를 통한 투자자 이해 증진 및 소통 강화
△그린플러스, 국내외 주요사업현황 발표 및 질의응답
우리나라 스마트팜 기업이 호주와 3900만 달러 규모의 수주 계약을 따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스마트팜 기업 그린플러스가 약 3900만 달러(한화 약 550억 원) 규모의 호주 내 스마트팜 온실 구축 프로젝트 수주 계약을 체결한다고 6일 밝혔다.
그린플러스와 호주 기업인 퓨어그린팜(Puregreen Farms) 간 체결된 이번 계약은 총 10헥타르
그린플러스는 호주법인 ‘그린플러스 AUS’가 호주 퓨어그린(PureGreen Farms)과 253억 원 규모 딸기 스마트팜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그린플러스에 따르면 이번 딸기 스마트팜 구축 계약은 창립 이래 최대 규모 단일 스마트팜 공급 계약이다.
2017년 설립된 퓨어그린은 호주 온실 전문 운영 기업(RedKokonuts Pty
하나은행이 지속가능 항공연료(SAF)를 사용해 배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고그린 플러스(Go-Green Plus)' 서비스에 가입한다고 2일 밝혔다. 하나은행은 지속가능한 금융에 동참하기 위해 서비스 가입을 결정했다.
하나은행에 따르면 고그린 플러스는 국제특송기업 DHL이 지난해 국내에 출시한 서비스다. 회원사가 지속가능 항공유
신한은행은 DHL코리아와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상생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신한은행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DHL의 ‘고 그린 플러스(Go Green Plus)’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고 그린 플러스 서비스는 폐식용유, 생활폐기물 등 재사용이 가능한 자원으로 만든 지속가능항공유를 사용해 탄소배출을 줄이는 서비스다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은 산업단지 입주기업 코멕스전자, 제이씨텍, 그린플러스종합건설, 세일즈인사이트, 제이에스오피스, 대도엔지니어링이 '산업단지 디지털 전환 챌린지'에 참여했다고 2일 밝혔따.
산업단지 디지털전환 챌린지는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디지털 전환 공감대 형성과 기업의 참여 유도를 목적으로 5월 30일부터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캠페인
DHL 코리아는 CJ 올리브영과 지속가능한 항공유(SAF) 사용을 통해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고그린 플러스’ 서비스 이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고그린 플러스는 2050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0)를 달성한다는 DHL 그룹의 지속가능성 목표의 일환 중 하나다. 본 서비스 이용 시 SAF 사용을 통해 운송과 유통 등 고객의 가치사슬 안에서
CJ올리브영(올리브영)은 DHL 코리아와 지속가능한 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사용을 통해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고그린 플러스(GoGreen Plus)’ 서비스 이용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고그린 플러스는 DHL이 지난해 6월 선보인 친환경 배송 서비스다. 물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iM뱅크가 ‘DHL 고그린 플러스(GoGreen Plus)’ 서비스에 가입해 탄소배출 감축 사업을 실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는 DHL 익스프레스가 지난해부터 실시한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사용한 배송 서비스다. SAF는 비화석에서 생산한 항공연료로 식용유, 폐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지며 일반 항공유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최대 80% 적다.
해당
△카카오뱅크, 국내 기관투자자 대상 기업설명회
△기아,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잉글우드랩, 경영상황에 대한 투자자 이해증진 및 사업내용 설명
△뷰노, Macquarie Asia Conference 2024 참석
△루닛, Macquarie Asia Conference 2024 참가
△제이시스메디칼, 2024
올해 5월 16일 개막 예정인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를 앞두고 올해도 아름다운 정원을 선보이기 위한 막바지 준비에 들어갔다. 서울시는 박람회가 열린 이래 올해 가장 많은 유수 기업과 협약을 맺고 다채로운 정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서울국제정원박람회에서 참여할 국내‧외 16개 기업과 기업동행정원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
서울 강동구가 지구의 날(4월22일)을 기념해 이달 22~28일 기후변화주간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16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강동구 기후변화주간 행사는 ‘우리의 탄(소중립) 생(활실천), 오히려 좋아!’라는 슬로건 아래 탄소중립 실천으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홍보하기 위한 재미있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꾸며진다.
우선 사전행사로 2
◇고려아연
‘Korea Zinc+Copper’로 가기 위한 투자
미 금속 트레이딩 업체 Kataman Metals의 지분 100% 인수 결정
과하지 않은 인수가. 조금 과하면 좋았을뻔한 Kataman社의 수익성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60만 원으로 하향
박광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시장에 찾아온 변화
1Q24Pre:
BNK부산은행이 국내 은행권 최초로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ㆍ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해 배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고그린 플러스(GoGreen Plus)'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14일 밝혔다.
고그린 플러스는 국제특송기업 DHL이 지난해 국내에 출시한 서비스로, 회원사인 고객이 지속가능 항공유
◇롯데관광개발
한 걸음씩 나아가는 중
카지노 월 매출 기록 경신 중
이익 반등 뚜렷할 2024년
나승두 SK증권 연구원
◇삼성생명
차별화된 주주환원 여력, 주가에 일부 선반영
보험주 중 가장 가시적인 주주환원 확대 반영해 목표주가 상향
지속적인 DPS 상향뿐만 아니라 자사주 매입, 소각 가능성도 높음
최근 주가 빠르게 상승, 단기 주가
유안타증권은 13일 그린플러스에 대해 해외사업 매출이 본격화하고, 자회사 실적이 개선돼 재평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그린플러스는 국내 1위 스마트팜 전문기업으로, 동사는 2023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스마트팜 수주에 힘입어 2024년 실적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면서
그린플러스가 북미 글로벌 자동차 전기차에 16만 대분 알루미늄 자재 계약을 체결한지 하루 만에 사우디아라비아 대규모 건설프로젝트 관리기업에 500톤(t)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여기에 추가로 3500톤에 달하는 추가 프로젝트도 기획하고 있다.
그린플러스는 티티에스코퍼레이션과 사우디아라비아 향 알루미늄 자재 500톤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