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지자체 농수산식품 수출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2024년 농수산식품 수출지원 직무능력 강화 교육’의 교육생을 모집 중이라고 2일 밝혔다.
교육은 이달 28~29일 aT 농수산식품유통교육원에서 진행되며, 수출지원사업의 이해, 수출정보조사 활용, 박람회 마케팅 기법 등 다양한 실무 강의와 현장 견학 등으로 구성됐다.
우리 농식품 수출지원 서비스 혁신을 위해 농식품 수출진흥기관과 디지털 전자무역 특화기관이 손을 맞잡았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은 24일 농수산식품 수출지원 역할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aT가 디지털 기반의 수출농업 안전망 구축을 위해 운영 중인 농집(NongZip·수출농가 지원플랫폼)과
최근 미중 무역분쟁, 한일관계 악화 등으로 인해 세계적인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 농수산식품 수출은 일본과 중국,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50% 수준으로 매우 높다. 안정적인 농수산식품 수출시장 확대 및 수출 체질 강화를 위해서는 대체 수출시장을 발굴하고 시장 다변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시점으로 현재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시도 때도 없이 수시로 바뀌고 있는 중국의 식품관련정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식품 수출업체들을 위한 중국 수출입절차 매뉴얼이 나왔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는 수출승인부터 통관, 검역, 사후관리에 이르는 행정 및 서류절차와 중국의 해당업무 담당기관들을 한 장의 인포그래픽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한 눈에 알아보는 중국 수출입 프로세스'
국산 김치의 중국 수출이 내년부터 본궤도에 오를 것이란 전망이 커지고 있다. 대륙의 규모로 보면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지만 성장세가 가파르기 때문이다.
12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KATI)에 따르면 올해 김치 수출은 10월까지 1만9393톤, 6536만 달러(약 764억 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보다 중량은 1.4% 늘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주요 할랄식품시장인 아랍에미리트ㆍ인도네시아ㆍ말레이시아ㆍ사우디아라비아 4개국 시장정보를 담은 ‘할랄식품시장 진출 가이드’책자 4권을 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책자는 이슬람협력기구(OIC) 소속 57개 이슬람 국가 중 우리 농식품 주요 수출 국가인 4개국의 할랄인증제도, 농식품 시장현황, 통관ㆍ검역 등 수입제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가 농수산식품업계의 수출 확대를 적극 지원한다.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부처 합동으로 'FTA 지원을 위한 농수산식품 수출업계 간담회'를 열어 농수산식품 수출산업화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농수산 식품이 자유무역협정(FTA)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인식에 이같은 방안을 발표한 것이다.
먼저 농식품부는 농식품 분야의 낮은
중국 인터넷 이용자 사이에서 가장 관심이 높은 한국음식은 된장찌개ㆍ불고기ㆍ비빔밥ㆍ떡볶이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간한 ‘한국식품 대(對)중국 온라인 마케팅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제1의 검색사이트 바이두의 한국음식 관련 검색어 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음식 중 가장 관심이 높은 품목은 된장찌개ㆍ불고기ㆍ비빔밥ㆍ떡볶이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함께 동남아시아 시장을 대상으로 한 수출 가이드북을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가이드북에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 주요 6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맞춤형 수출전략이 담겼다.
해당 시장별 식문화, 식품시장 트렌드, 한국식품 진출 여건, 유통경로, 유망품목과 수입통관 정
김재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은 1977년 행정고시로 공직에 첫발을 디딘 후 농림수산식품부에서 농업정책과장, 농산물유통국장, 주미대사관 농무관, 기획조정실장 등 주요 요직을 거쳤으며 농촌진흥청장과 농식품부 제1차관을 지냈다.
농식품부에서 유통 및 식품 관련 분야에 주로 근무하면서(시장과장, 유통과장, 유통국장) 전문성과 식견을 갖춘 유통·식품
농어업 기반 강화를 위해…기능성 식품산업을 육성
정부는 14일 발표한 ‘2011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자영업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신규 자영업종 창업과 업종전환을 막는 진입장벽을 개선하기로 했다. 또 업종별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교육과 컨설팅, 자금 등 지원기관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규 업종 창업교육과 영세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