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적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분양시장도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미분양 해소는 더디고 청약 미달도 속출하고 있다. 다만 이런 가운데서도 가격 안정성과 주거 편의성이 높아 수요가 많은 브랜드·대단지·역세권 단지는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견해다.
1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아파트 분양 실적률은 39%를 기록했다. 계획을
4월 첫째 주에는 전국에서 5782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청약 단지(5곳)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첫째 주에는 전국 5개 단지에서 총 5782가구(일반분양 5185가구)가 분양한다.
경기 김포시 ‘풍무역롯데캐슬시그니처’와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아테라’, 경북 포항시 ‘힐스테이트더샵상생공원1단지’, 경남 창원시 ‘창원메가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아파트 공급이 줄어드는 가운데 분양가는 오름세는 이어지고 있다. 선택지가 축소되는 상황이라 서울 접근성이 높은 단지를 눈여겨볼 필요도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22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서울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공급면적 기준)는 1339만6000원으로 전월보다 0.34% 상승했다. 3.3㎡로
포스코이앤씨가 국내 최초 공동주택 수직증축 리모델링 단지인 ‘잠실 더샵 루벤’을 준공하고 7일부터 입주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단지는 서울시 송파구 송파동에 위치한 1992년에 준공된 성지 아파트를 수직증축으로 리모델링 해 완성됐다. 2020년에 사업계획이 승인된 후 2022년 1월 착공해 총38개월의 공사 끝에 2025년 3월 새롭게 탄생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아파트값이 급등했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실거래가 현황을 토대로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16일 서울시는 잠삼대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후 30일의 아파트 실거래 자료를 비교한 결과 전용면적 84㎡ 평균 매매가격은 26억3000만 원에서 27억 원으로 2.7% 상승했다고 밝혔다.
3월 셋째 주에는 전국에서 156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청약 단지(1곳)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3월 셋째 주에는 전국 1개 단지에서 총 156가구(금회공급 104가구)가 분양한다.
서울 강서구 ‘아르체움등촌(청년안심주택)민간임대’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당첨자 발표(4곳)
당첨자를 가리는 단지는 4곳이다. 경기 부천시 '부천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다. 강남3구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확산되자, 강남발 집값 상승 분위기가 전국으로 번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꽁꽁 얼어붙은 지방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15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3월 둘째 주(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0.2%로 전주(0.14%)
아파트 커뮤니티 차별화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커뮤니티 시설이 단순한 부대시설을 넘어 입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아파트의 가치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서다.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로 놀이터와 독서실 등에 머물렀던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이 피트니스센터, 골프연습장, 게스트하우스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이달 분양을 앞둔 '창원
포스코이앤씨가 주거·케어·의료 전문기업인 애스콧, 대교뉴이프, 차움의원, 차헬스케어와 시니어 레지던스 운영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서울 강남구 자곡동 더샵갤러리에서 진행됐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2년 동안 시니어 레지던스 운영역량 확보를 위해 50여 개의 분야별 전문 서비스 회사와 협력하면서 14개 분야로
DL이앤씨가 옛 동대구 고속터미널 부지에 짓는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가 분양에 나선다. 이 단지는 대구 내 핵심지로 꼽히는 동대구역 바로 앞에 들어서 입지만큼은 최고라는 평가다. 다만 대구 내 미분양 물량 적체가 여전하고,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형의 분양가격이 7억 원대에 형성된 것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지난달 분양을 준비했으나 실제로 청약을 진행하지 않고 미룬 단지가 전체의 60%에 육박했다. 일부를 제외하면 흥행에 성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건설사들이 공급을 자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직방은 지난달 분양예정 물량이 총 1만2676가구였는데 실제 분양은 5385가구만 이뤄져 공급실적률이 4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일반분양은 7821가구가
다음 달 아파트 입주 물량이 지난달보다 크게 늘어난다. 특히 수도권은 3배 넘게 증가할 예정이다.
24일 직방은 3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2만6142가구로 전월보다 46% 많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만4395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전월 4293가구보다 3배 이상 많은 수치다.
서울 4666가구가 입주한다. 주요 단지로는 성북구 장위4구역을 재
‘똘똘한 한 채’ 선호도가 높아지며 원도심 내 편리한 주거 인프라를 품고 있는 정비사업 단지의 인기가 높아졌다. 그러나 공사비 인상과 분담금 탓에 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곳도 많아 우려를 사고 있다.
22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청약 경쟁률 상위 10곳 중 8곳이 정비사업 단지로 나타났다. 총 66곳, 2만5383가
이수희 강동구청장이는 지난 20일 한국마사회 김종철 고객지원본부장과 면담을 갖고 한국마사회 강동지사 이전에 대해 논의하고 주민 의견을 전달했다.
이번 면담에서 이 구청장은 “최근 천호동 지역은 거주 단지로 변모하고 있으며 주변 환경도 이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는 지역 주민의 바람이 크다“라며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다음 달 이사 철을 맞아 입주물량이 소폭 증가했다. 다수의 대단지 입주를 앞둔 서울을 필두로 수도권 물량이 급등해서다.
21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3월 전국 아파트 총 58개 단지, 2만7541가구(임대 포함)가 집들이를 시작할 예정이다. 전년 동기 대비 1만 가구 이상 줄었지만, 전월보다는 약 7000가구 늘었다. 수도
이지스자산운용은 ‘오산세교2지구 M1BL(블록)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 본프로젝트파이낸싱(PF) 모집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자금 조달에는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하나증권 등 3개 대형 증권사가 참여해 총 3480억 원 규모 민간 PF대출을 모집했다.
또 주택도시기금 임대주택건설자금대출 810억 원을 포함해 총 4280억 원 규모
포스코이앤씨가 사업비만 2조 원 규모인 경기지역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남 '은행주공' 재건축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1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성남 은행주공 재건축 조합은 이날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열고 조합원 투표를 거쳐 포스코이앤씨를 시공사로 선정했다. 이날 총회에선 전체 조합원 2070명 가운데 조합원 1834명이 참석해 포스코이앤씨에 133
'줍줍'으로 불리는 무순위 청약 제도 개편을 두고 건설업계 일각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무순위 청약 문턱이 높아지면서 준공 후 미분양 해소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무순위 청약을 무주택 실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한다고 밝혔다. 청약 조건을 무주택자로 제한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별 여건
포스코이앤씨와 두산건설이 '성남 은행주공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사업비 지원과 특화설계, 낮은 공사비와 빠른 완공 등 각자 내놓을 수 있는 최선의 조건을 내건 것은 물론이고 최고경영자(CEO)까지 현장을 찾아 수주 의지를 강조하는 상황이다.
1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주공 재건축조합은
올해 경기 재건축 최대어인 성남 은행주공 아파트 시공사 선정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시공권을 차지하기 위한 포스코이앤씨와 두산건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양 사가 수주를 위해 무리한 저가 공사비를 제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은행주공 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이달 16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열고 시공사 선정을 진행할 예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