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 2월 21일부터 시행대상자 일반환자로 확대하고 GMP 기준 완화기업은 수익, 환자는 치료 접근성 높일 수 있어
첨단재생바이오법(첨생법) 개정안 시행이 한 달 남짓 남은 가운데 재생의료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임상 연구를 참여하는 환자에만 한정됐던 치료 대상을 치료가 필요한 환자로 확대하면서다.
21일 제약‧바이오 업계
올해 20~30개 이식 추가로 계획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뇌신경과학 뉴럴링크가 세 번째 환자 뇌에 전자칩을 이식했으며 올해 약 20~30개의 이식을 추가로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이번 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행사에서 “현재 세 명의 사람에게 뉴럴링크를 이식했으며 모
코스닥 지수는 한 주간 25.42포인트 내린 668.31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개인 홀로 순매수(6390억 원)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310억 원, 2390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한국첨단소재, 양자 얽힘 광자 쌍생성 기술 이전 완료에 강세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한국첨단소재(66.39%)였다. 지난 18일 한
△셀트리온,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CT-P43) 미국식품의약국(FDA) 최종 판매 허가 획득
△퍼스텍, LIG넥스원 대상 457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한화시스템, 방위사업청 대상 1123억 규모 K2 전차 사통장치 성과기반계약(PBL) 외 3항목 공급계약 체결
△씨에스윈드, 522억 규모 윈드 타워 공급계약 체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위사
바이오기업 코아스템켐온은 18일 오전 10시 16분 기준 전일보다 29.97%(4420원) 내려 가격제한폭인 1만330원에서 거래 중이다. 이날 개장 전 코아스템켐온은 최종 임상 발표 전 공개하는 일부 핵심 지표를 통해 루게릭병 줄기세포 치료제 ‘뉴로나타 알’의 임상시험 3상에서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했다는 소식을 공시했다.
코아스템켐온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루게릭병 치료제 ‘뉴로나타-알’에 HTS-FRS 현탁화제를 적용하는 품목 변경 허가를 최종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HTS-FRS 현탁화제는 인공뇌척수액으로서 코아스템켐온이 개발한 루게릭병 줄기세포 치료제 뉴로나타-알의 생산공정에 필요한 환자 뇌척수액을 대체하는 물질이다. 품목 변경 허가에 따라 내달부터 뉴로나타-
에이스침대는 루게릭병 환우들을 위한 전문 요양병원 건립에 힘을 보태기 위해 승일희망재단에 건립 기금 1억 원을 전달했다고 26일 밝혔다.
승일희망재단은 고(故) 박승일·션 공동대표가 국내 최초의 루게릭요양병원 건립을 위해 2011년 설립한 비영리재단이다. 그간 지속적인 캠페인 및 모금 활동을 통해 경기도 용인시 모현읍에 1000여 평(3292㎡) 부지
코아스템켐온은 호주 현지 병원으로부터 ‘뉴로나타-알’의 특별사용 요청을 받고 현재까지 총 3회 약물 공급 및 실제 환자 투여를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약물 공급은 호주 의약품안전청(TGA)에서 운영하는 SAS(Special Access Scheme) 프로그램을 통해 이뤄졌다. SAS는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거나 기존 치료가 효과가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
“임상 모집 시작, 사지마비 자격 대상”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운영하는 뉴럴링크가 캐나다에서 임상시험을 허가받았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럴링크는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캐나다 보건당국이 자국에서의 첫 임상시험을 승인했다는 소식을 알리게 돼 기쁘다”며 “현재 임상 모집이 시작했고 ALS(루게릭병)나 SCI
멥스젠, 207억 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누적 유치액 386억 원
멥스젠은 207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누적 투자 유치액은 386억 원을 돌파했다. 멥스젠은 인간의 주요 장기 내 세포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모사한 미세생리시스템(MPS, 생체조직칩, 오가노이드 칩 등 체외 장기 모델)과 다양한 종류의 나노약물 전달체를 고효율
피노바이오, 셀트리온과 개발한 고형암 ADC 신약 2종 전임상 결과 공개
피노바이오가 셀트리온에 기술이전한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술이 적용돼 개발된 고형암 치료용 신약 후보물질 2종의 비임상 결과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월드 ADC 학회에서 공개됐다. 셀트리온은 앞선 계약에서 15개 타깃에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옵션권을 확보했다.
코아스템켐온은 시신경척수염 줄기세포 치료제 ‘CE211NS21’의 임상시험을 위한 연구자 미팅을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미팅에 각 병원 임상 교수와 연구 간호사, 임상 연구원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지난 연구 성과 및 임상 1상 진행 계획을 공유했다.
코아스템켐온은 이 자리에서 최근 주력 파이프라인인 루게릭병 치료제 뉴로나타-알의 미국
동아ST, ‘이뮬도사’ 유럽 품목허가 승인 권고 획득
동아ST는 ‘이뮬도사’(성분명 우스테키누맙)가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품목허가 승인 권고 의견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CHMP 품목허가 승인 권고 의견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의 최종 승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품목허가 승인 권고 의견 후 EC는 공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사 코아스템켐온은 충청북도 오송 바이오 산업단지에서 제약바이오 분야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첨단 바이오 의약품센터의 준공식을 가졌다고 23일 밝혔다.
준공식에는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을 비롯해 이정석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장, 조인호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장, 오제세 전(前) 국회의원, 전혜숙 전 국회의원, 김승현 한양대병
코아스템켐온이 줄기세포 루게릭병 치료제 ‘뉴로나타-알’주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위해 이령아 이대목동병원 대장암 센터장을 영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코아스템켐온은 10월 뉴로나타-알 주의 마지막 환자 투여를 끝으로 임상을 종료하고 신약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관찰 및 분석을 시작할 예정이다.
코아스템켐온은 이번 영입으로 과거 중앙연
소녀시대 수영이 故 박승일을 추모했다.
26일 수영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제 천국에서 좋아하는 농구 다시 하면서 훨훨 뛰어다닐 오빠가 그려진다”라며 고인을 애도했다.
이어 “23년 동안 매일 천장과 하늘을 보며 앉아있는 시간 동안 어떻게 그렇게 집요하고 꾸준하게 꿈을 향해 달려왔을지”라며 “감히 그 마음을 헤아릴 수 없지만, 오빠의 꿈이 완
전 프로농구 코치 박승일 승일희망재단 공동대표가 23년간의 루게릭병 투병 끝에 25일 별세했다. 향년 53세.
승일희망재단은 이날 "승일희망재단 공동대표 박승일 님께서 23년간의 긴 투병 생활을 뒤로하고 소천하셨다"며 "고인의 삶을 기억하겠다"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에 루게릭병이라는 희귀질환을 알리고, 루게릭 요양병원 건립과 많은 환우와 가족을 위해
삼성생명은 '삼성 경증간편 플러스원 건강보험'을 판매한다고 10일 밝혔다.
11일부터 판매되는이 상품은 6월 출시해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은 삼성 플러스원 건강보험의 유병자형 보험이다. 고혈압·당뇨병 등의 경증 만성질환 유병자도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가입의 문턱을 낮췄다.
삼성 플러스원 건강보험은 생명보험협회 신상품 심의위원회로부터 6개월 배타적
'기부 천사' 가수 션이 광복절 마라톤으로 변함없는 선한 영향력 행사를 예고했다.
션은 2020년을 시작으로 광복절마다 기부를 위한 마라톤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발톱이 6개가 빠졌다. 주위에서 그만하라고 말리기도 한다"며 고통의 상황에도 행사를 지속할 수 있는 이유를 언급했다. 그는 "감히 비교할 건 아니지만
지엔티파마는 플랫폼 신약으로 개발하고 있는 ‘크리스데살라진’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자가면역질환은 면역계의 오작동으로 정상적인 세포, 조직, 기관을 공격해 인체의 기능을 약화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이다.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류머티즘 관절염, 제1형 당뇨병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