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 ‘인조이’ 발매 40분 만에 스팀 1위넥슨 ‘카잔’ 체험판 글로벌 다운로드 100만넥슨 ‘마비노기 모바일’ 앱스토어 1위 등극
넥슨과 크래프톤이 연달아 선보인 초대형 신작들이 초반 글로벌 흥행에 성공한 모양새다. 이들 게임의 흥행이 움츠러들었던 게임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28일 온라인 게임 유통망 ‘스팀’에 따르면 크
넥슨은 27일 자회사 데브캣이 개발한 신작 다중접속역할게임(MMORPG) ‘마비노기 모바일’을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20년 이상 서비스한 넥슨의 대표 지식재산권(IP) ‘마비노기’를 기반으로 한 신작이다. 원작의 감성과 생활형 콘텐츠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모바일 환경에 맞춰 재해석한 직관적인 조작과 강화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한다.
14일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 넥슨, 넷마블 등이 3월 기대 신작을 출시할 예정이다.
먼저 크래프톤은 올해 상반기 기대작인 인조이(inZoi)의 라이브 쇼케이스를 19일 오전 10시 진행하고, 28일 오전 9시 출시할 예정이다. 현재 게임 사양과 최적화 세팅은 공개됐으며, 쇼케이스에서 게임 가격과 DLC 관련 내용이 발표될 예정이
게임산업협회 10년 만 수장 교체…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전문 관료 출신 유병한 게임문화재단 이사장 임기 시작게임업계 1세대 송병준 컴투스그룹 의장 벤처기업협회장에넷마블ㆍ넥슨ㆍ크래프톤 등 다년 간 준비한 대작 출격
게임업계가 3월 새출발을 앞두고 있다. 주요 협단체가 새로운 리더십을 선보이며 업계 내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주요 게임사들은 다양한 신작으로
넷마블 5년 개발 끝에 ‘RF 온라인 넥스트’넥슨 IP 확장한 ‘마비노기 모바일’·‘카잔’크래프톤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 출시“3월 기대작 러시에 업계 기대감 남달라”
지난해 신작 가뭄을 보냈던 국내 게임업계에 볕 들 날이 올 예정이다. 국내 대형 게임사들이 올해 3월 오랜 시간 준비한 대작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대결에 나선다. 심혈을 기울인 기대작들인
마비노기 모바일ㆍ카잔 3월 출시데이브 더 다이버 DLC 2종 공개슈퍼바이브 하반기 출시 예정아크 레이더스 연내 출시 계획빈딕투스 하반기 알파 테스트
지난해 국내 게임사 최초로 연 매출 4조 신화를 기록한 넥슨이 2027년까지 연 매출 7조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올해 다양한 신작들을 내놓으며 달려갈 계획이다. 기존 넥슨 게임 라인업을 확장하고 독창적인
게임업계 맏형 넥슨이 지난해 게임업계 최초로 매출 ‘4조 클럽’에 입성했다. 넷마블은 적자 고리를 끊고 2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양사는 연초부터 대형 신작을 대거 선보이며 침체의 늪에 빠진 게임업계에 활기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넥슨은 지난해 중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글로벌 출시한 ‘퍼스트디센던트’의 흥행에 힘입어 4조91억 원
넥슨이 지난해 중국 지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7월 글로벌 출시한 ‘퍼스트 디센던트’의 성공적인 출시에 힘입어 국내 게임사 최초로 연간 4조 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했다.
넥슨은 지난해 전년 대비 5% 증가한 4조 91억 원의 매출을, 영업이익은 8% 감소한 1조 1157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4분기 매출은 7,294억 원을 기록
넥슨이 MMORPG 신작 ‘마비노기 모바일’을 내달 27일 출시한다.
정식 출시에 앞서 3월 26일까지 사전 등록을 실시한다.
데브캣 김동건 대표는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더욱 이용자 의견에 귀 기울이겠다”며 “꾸준한 업데이트로 새로운 재미를 제공하고, 향후 방향성에 대해 투명하게 소통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넥슨코리아가 '마비노기 모바일'을 개발 중인 데브캣에 110억 원의 운영 자금을 추가로 대여했다.
넥슨코리아는 지난달 24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계열사 데브캣에 총 580억원의 자금을 이자율 4.6%에 만기일시상환 방식으로 대여했다고 3일 공시했다.
이는 데브캣이 지난해 10월 공시한 총 470억원어치 자금 대여 연장 건을 포함한 금액이다. 데브캣이 넥
NH투자증권은 9일 넥슨에 대해 올해 출시한 게임들이 잇달아 성공했고, 하반기에도 다수의 신작이 준비돼있어 큰 폭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넥슨은 콘솔, PC, 모바일을 아우르고 지역 다변화가 가장 잘되어 있는 회사"라며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중국 출시로 2분기 큰 폭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라고 전했다.
넥슨은 올해 1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액 9689억 원, 영업이익 2605억 원, 당기순이익 3210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3%, 48%, 32% 줄었다.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 1분기 실적의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다만 실적은
넥슨이 지난해 연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넥슨은 지난해 영업이익 1조2516억 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30%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9323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75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늘었고, 영업이익은 40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줄었다.
실적 부진으로 추운 겨울을 보내는 게임업계가 신년부터 글로벌 진출로 실적 만회에 나선다. 지식재산권(IP) 강화하고 플랫폼 다변화를 꾀해 정체된 내수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겠다는 것이다.
23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겨울방학 특수를 앞두고 주요 게임사들은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넷마블은 메가 IP를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문을 두드린다. 넷마블은
류제일, 넥슨-원더홀딩스의 합작사 니트로 스튜디오·데브캣 대표 거취 고민 카트라이더:드리프트의 부진 및 적자폭 확대 등 영향 미친 것으로 풀이 니트로 스튜디오 적자 지속...지난해 매출56억 원, 영업손실 192억 원김정주 창업주 타계 후 허민 원더홀딩스 대표 라인 선긋기 신호탄 해석도
‘카트라이더:드리프트’를 개발한 넥슨의 자회사 니트로 스튜디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된 국내 최대 게임 대축제 ‘지스타 2022’가 마무리됐다. 게임사별로 내걸고 있는 기대 신작을 직접 체험해보려는 발걸음이 매일 수만 명 씩 이어졌다.
부산 벡스코에서 17일부터 4일간 진행된 ‘지스타 2022’는 20일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이번 지스타는 2019년 이후 처음으로 다시 오프라인으로 치러지면서 지스타조직위 추
최대 규모로 지스타에 참가한 넥슨이 첫날 1만여 명에 달하는 방문객을 맞이했다.
넥슨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지스타 2022’ 개최 첫날 1만여 명이 신작 체험에 참여했다고 18일 밝혔다.
넥슨은 이번 지스타 2022에 단일 최대인 300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총 560여 대의 시연기기를 마련해 ‘마비노기 모바일’, ‘퍼스트 디센던트’, ‘카트라
‘지스타 2022’에 단일 최대인 300부스 규모로 참여한 넥슨이 압도적인 중앙 LED와 520여 대의 시연기기로 ‘핫플레이스’가 됐다. 넷마블도 인플루언서 대전 등으로 인기몰이를 했다.
넥슨은 1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지스타 2022’에서 메인 슬로건 ‘귀환’을 앞세워 초대형 LED와 대칭되는 시연대로 참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한눈에 담기
단일 최대인 300부스 규모로 참여한 넥슨은 압도적인 중앙 LED 등으로 지스타 복귀를 알렸다.
넥슨은 17일 ‘마비노기 모바일’, ‘퍼스트 디센던트’,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데이브 더 다이버’ 등 시연 출품작 4종을 선보였다.
이번 지스타에서 넥슨은 메인 슬로건 ‘귀환’을 앞세워 신작 게임 전략을 ‘선택과 집중’으로 바꾸고 초심으로 돌아가
전년 대비 부스 규모 2배 확대…2019년 3208부스에 못미쳐넥슨·넷마블·카겜·크래프톤·위메이드·네오위즈 등 BTC 부스올해 지스타 ‘안전’을 중점 과제로… 참관객 밀집도 집중관리
국내 최대 게임 축제 ‘지스타 2022’가 3년만에 오프라인 행사로 막을 올린다.
올해 18회째를 맞이한 ‘지스타 2022’는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