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이 최근 5년간 가장 많이 도입한 혁신 학사제도는 ‘마이크로디그리’와 ‘나노디그리’,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등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향후 대학들이 이 같은 혁신적인 학사제도를 보다 자유롭게 도입할 수 있도록 정부의 법적, 제도적 지원이 보다 강화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31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교권침해 논란을 빚은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 제도가 폐지되고 대신 '교원역량개발지원' 제도가 도입된다.
교육부는 3일 17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원평가 폐지 및 교원 역량개발지원 제도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교권침해 사례는 물론 학교 현장의 업무부담, 제도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교원평가 제도'를
평가 과정에서 성희롱 등 교권침해 논란을 빚어 중단됐던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 개편안이 나왔다. 교사들의 반발이 컸던 서술형 평가와 학부모 만족도 조사가 폐지되고 ‘학생 만족도 조사’는 교원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의 배움과 성장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학생 인식조사’로 바뀐다.
교육부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와 14일 오후 서울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디스플레이·항공우주 등 5개 분야2028년까지 5년간 대학당 연간 최대 15억원 내외 지원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7일 ‘2024년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는 첨단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신속하게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경계를 허물고 기업과 공동으로 개발·운영하는 단기 집중
맞춤형 통합역량관리체계... 진로상담부터 취업까지고등교육의 ‘나이스’ 버전…취업코너 가장 많이 찾아
동국대학교 학생역량통합관리시스템 ‘드림패스(Dream PATH)’를 자주 이용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취업률이 높게 집계된 자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동국대가 올해 자체 조사한 ‘2022년 드림패스 이용률과 취업률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이지스는 신한대학교와 소프트웨어 기증 및 교류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공간정보 관련 R&D 상호 협력 △한국형 공간정보실무교육과정 협력 △신한대학교 졸업생 취업연계 프로그램 운영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윈 실습 SW 무상 제공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신한대학교 학생 누구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의 한국형 공간
비수도권 대학에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 사업에 15곳이 후보군으로 확정됐다. 교육부는 예비지정 대학들이 10월 초까지 제출한 실행계획서를 바탕으로 10월 말까지 본지정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12일 글로컬대학 예비지정에 대한 이의신청 수렴 결과 15개 대학·연합체 예비지정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1차 평가 발표가 이뤄진 지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14일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에 참여할 10개 대학(4년제 대학 5개교+전문대 5개교) 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캠프는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대학과 기업이 공동 운영하는 1년 이내 집중교육을 통해 반도체 등 첨단분야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기획된 신규 사업이다.
교육부는 앞으로 5년간 캠프 운영에 총 150억
권창현 계원예술대학교(이하 계원예대) 총장은 “메타 크리에이터 양성을 위해 교육의 패러다임이 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총장은 런던대학교 영상디자인교육 박사과정을 거쳐 계원예대 영상디자인과 교수를 지낸 미디어 교육 분야 전문가다. 올해 1월 총장으로 취임 후 메타버스 시대에 경쟁력 있는 크리에이터(Meta Creator) 양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
교육부가 여러 대학 간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2026년까지 미래차, 바이오 등 디지털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 10만 명을 양성한다.
교육부는 제4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7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발표 이후 반영된 신규 과제다.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