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통계 차이뿐 아니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하는 주택공급실적 통계가 대거 누락돼 대대적인 정정이 이뤄지는 등 통계 신뢰도 자체를 흔드는 일이 발생했다. 지난해 통계 조작 논란 이후에 벌어진 대형 통계 사고인 데다, 과거 통계 오류 상황과 같은 변명이 되풀이됐다. 전문가들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매뉴얼을 개선하거나 제3의 기관에 통계 작성을 맡겨야 한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일대 미분양 단지에 수요자들이 쏠리고 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값 상승이 이어지고, 여기에 분양가마저 급등하자 기존 분양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적어도 하반기까지는 미분양 단지를 찾는 발길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3일 경기도와 서울시 미분양 통계를 분석한 결과, 5월 말 기준 경기도 미분양 주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주택 미분양 물량이 정부 통계보다 많은 10만 가구 이상이라는 계산이 나왔다. 특히 지방 미분양이 장기화하면 건설업과 제2금융권의 연쇄부도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됐다.
5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미분양 주택리츠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주택경
지방의 미분양 주택 적체를 2008년 금융위기 때 시행한 적이 있는 기업구조조정 리츠로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서울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양극화가 지속되면서 지방 미분양이 더 늘어날 수 있어 과거 성과를 냈던 방식을 다시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5일 주택산업연구원은 박정하 국민의힘 의원실과 공동으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현재 주택시장은
미분양 주택 증가 문제가 전국으로 퍼지고 있다. 최근 6개월 동안 미분양 주택이 최대 5배 늘어난 곳도 확인됐다. 청약시장 침체가 계속되지만, 건설사의 고분양가 기조는 꺾일 기미조차 없다. 집값 내림세에 고분양가 부담까지 더해지자 실수요자는 분양시장서 분양시장 침체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전문가는 상반기 중으로 미분양 ‘10만 가구’ 선을 넘길 것으
서울시가 최근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주택 미분양 정보를 시민에게 공개한다.
시는 10일 국토교통부와 주택정책협의회에서 ‘미분양 주택 신고 의무화’를 건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작년 말 기준 서울시 내 미분양은 953가구에 달한다. 10년 전 경기침체기에 비하면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전국적인 미분양 증가 추세와 더불어 국가 경제에 미칠 중·장기
#. 지난해 12월 말 기준 서울시 미분양 주택 공시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두 번 게재됐다. 애초 공시에선 미분양 주택이 총 953가구라고 발표했다. 전달인 11월 대비 88가구 늘어난 수치로, 강서구에서 131가구가 늘어난 대신 용산구에서 41가구, 구로구에서 2가구 줄었다고 했다. 용산구 미분양 주택 수량이 급격히 줄어든 것과 관련해 취재가 시작되자
서울 미분양 주택이 지난달 말 기준 1000가구 규모에 근접했다. 기존 미분양 물량 적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강서구에서 100가구 이상 미분양 물량이 쏟아졌다. 특히 미분양 물량 대부분은 전용면적 60㎡형 이하 소형평형에 쏠림 현상이 이어졌다. 미분양 주택이 쏟아지는 상황에 서울시는 25개 지자체의 미분양 통계 집계부터 허점을 드러냈다. 추가 미분양 주택
전국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고 있지만 정작 정부와 지자체는 미분양 주택 실태 파악조차 제대로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분양 주택 집계는 의무가 아닌 건설사와 지자체의 자율 신고로 이뤄지는데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정확한 미분양 통계의 부재는 관리부실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신고 의무제나 미분양 주택 신고를
국토교통부는 전국 미분양 주택이 1월 말 기준 4만3268가구로 집계됐다고 27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과 비교하면 9.5%(4529가구) 줄어들었다. 신규 청약 등에 따른 미분양 주택이 1882가구 새로 생겼지만 기존 미분양 주택이 6411가구 감소해서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6월 6만3705가구까지 늘어난 후 7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악
지난해 과열 양상을 보였던 지방5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에서 올해 5만9947가구가 일반분양될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지방 5개 광역시에서 5만9947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나올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5만2280가구) 대비 14.7% 증가한
경기도 평택 주택시장이 꽁꽁 얼어붙고 있다. 집값 하락과 미분양 가구 적체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또다시 3000여 가구의 신규 물량이 쏟아질 예정이다. 수급 불균형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평택 주택시장이 당분간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1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날부터 올해 말까지
광주 소형 아파트가 가격 상승세를 보이며 5대 광역시 중 1위인 부산 소형 아파트값을 매섭게 뒤쫓고 있다.
10일 부동산 큐레이션서비스인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9월 광주 소형 아파트 매매 중위가격은 7500만 원 수준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9648만 원으로 급등해 6개월 만에 2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새 아파트 공급이 경기도에 집중될 것으로 나타나면서 수요자들의 옥석 가리기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6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연말까지 경기도에서 71개 단지, 총 5만1874가구가 일반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상반기 경기도에서 일반 공급된 3만829가구 대비 168% 가량 증가한 수치며, 하반기 전국 분양 예정 물량(16만5140가
지방 분양시장에 한파가 몰아닥치며 불꺼진 집이 늘고 있다. 부산은 4개월 연속 미분양이 늘고 있고, 충남은 악성미분양이 대폭 확대돼 지방 주택시장에 빨간불을 켜고 있다. 건설사들 자체적으로 물량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국토교통부 미분양 통계에 따르면 지방의 미분양 가구수는 지난해 7월 4만2165가구를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다
부산, 대전 등 전매제한이 강화된 일부 지방광역시의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해당 지역 분양시장도 몸사리기에 들어갔다.
16일 부동산인포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산 등 지방5개 광역시에서는 5607가구가 일반분양 될 전망이다. 지난해 동기보다 21% 넘게 감소한 양이다.
그나마 부산은 4205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56가구가 증가
지난해 전세난으로 각광을 받았던 빌라가 공급과잉 우려에 부딪치면서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다.
9일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준공이 끝나 사용검사를 완료한 단독 다가구 및 다세대, 연립주택 가구 수는 전년 대비 2만699가구가 증가한 28만681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 이후 역대 2번째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수도권의 경우 지난해 사용검
국토교통부가 주택시장 다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에 맞춰 주택통계를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2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통계청과 한국주택학회 및 주택 관련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주택통계 개선을 위한 심포지움’을 개최, 주택통계 시스템의 변화를 예고했다.
이날 김경환 국토교통부 1차관은 “국내 주택시장이 구조적으로 큰 변화를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서울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가 지난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3년 서울에서 인허가 받는 도시형생활주택은 2만1044가구로 2012년의 3만6476가구 대비 42%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의 2만7464가구 보다 적은 수준으로 급감세로 볼 때 올해 인허가물량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주택형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타 주택형에 비해 계약이 빠르게 마감되는 것은 물론 시장에서의 가격 상승률이 높아 수요자들의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18일 한국감정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 중 면적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자료를 보면 올 4월까지(지난해 12월 기준) 전용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