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이첨단소재가 매출 증가와 영업이익 흑자전환을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브이첨단소재는 지난해 연결 매출액 81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 영업손실 28억6000만 원과 2023년 영업손실 57억7000만 원에서 지난해 영업이익 25억6000만 원의 흑자를 달성했다.
회사 관계자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연성회
3차원 비표지(Label-free) 세포 이미징 전문 기업 토모큐브가 비(非)바이오 사업 매출 확대에 나선다. 토모큐브는 5년 내 비바이오 매출액이 바이오 매출액을 역전할 것이라고 자신하며, 올해가 비바이오 매출 확대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토모큐브 관계자는 "2024년까지는 매출이 바이오에서 100% 발생했지만, 올해부터는 비바이오 매출이 발생
케이피에스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비업체에서 제약·바이오 회사로 변신을 꾀한다. 지분 100%를 인수한 자회사 한국글로벌제약의 흡수합병을 통해서다.
케이피에스는 100% 자회사 한국글로벌제약을 소규모 합병하기로 이사회를 통해 결정했다고 4일 공시했다. 매출액 기준으로 사실상 OLED 장비업에서 제약업으로 바뀌게 된 셈이다.
‘전문의약품(ETC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 장비 기업 선익시스템이 올해 본격적으로 양산 장비 수주에 나선다. 연구용 장비를 공급했던 기술력으로 양산 장비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선익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기업과 디스플레이 패널 증착 장비의 공급을 논의 중이다.
선익시스템의 주력 장비인 증착기는 OLED 양산의 핵심 장비다. 증착은 유기물
8500만원짜리 TV 28대 연결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습에 눈길AI가 만든 역동적 영상 담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많은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은 것은 LG전자 부스에 설치된 초대형 미디어아트 조형물 ‘LG 시그니처 올레드 T’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습에 관람객들은 감탄하며 눈을 떼지 못했다.
이 제품은 투명 유
디스플레이 장비 기업 에프엔에스테크가 소재·부품 사업의 매출 비중을 30% 수준까지 늘렸다. 올해도 꾸준히 확대해 안정적인 실적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23일 에프엔에스테크 관계자는 "2023년 약 20%가량이던 소재·부품 매출액 비중이 지난해 30%가량으로 증가했다"라며 "올해도 고객사 다변화를 추진해 더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비 사업의
삼성증권은 LG디스플레이에 대해 올해 상반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모바일 출하가 늘어 손익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1만3000원에서 1만1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9160원이다.
23일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은 7조8000억 원에 영업이익 831억
삼성D·LGD 절반씩 애플 공급200만원 넘는 가격이 발목 잡아핵심 부품 OLED 원가 낮추기기판 키운 '8.6세대' 라인 구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탑재한 애플의 태블릿PC 출하량이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면서 수혜를 볼 것으로 점쳐졌던 국내 디스플레이업계는 실망하는 분위기다. 애플의 시도는 OLED 태블릿PC의 원년을 열었다는 평가와 함
LG디스플레이 작년 4분기‧연간 잠정 실적 발표매출액 26조, 25% 증가…OLED 비중 확대 영향적자 2.5조→5000억으로 줄여…투자엔 ‘보수적’
오랜 기간 적자를 이어온 LG디스플레이의 지난해 적자 규모가 전년 대비 약 2조 원 줄였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재편하며 성과를 거둔 것이다.
22일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LG디스플레이가 21일 정보기술(IT)용 8.6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와 관련해 “아직 시장 수요에서 불확실성이 꽤 있다고 판단한다”며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LG디스플레이는 이날 4분기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 콜에서 “회사는 (8.6세대 OELD) 투자를 확신하기 위해 시장에서 어떠한 시그널이 필요하다. 가시성이 확보된다면 시장에 뛰어들 준
LGD 24년 적자 폭, 23년 대비 2조 축소OLED 제품 매출 비중 7%p 증가해 55% 육박작년 4분기 매출 7.8조, 영업익 831억 흑자 전환
오랜 기간 적자를 이어온 LG디스플레이의 지난해 적자 규모가 전년 대비 약 2조 원 축소된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4분기 및 연간 연결기준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회사는 지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넘어 ‘미국 유일주의(America Only)’ 정책을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공식 취임했다. ‘트럼프 노믹스’ 시즌2가 현실화한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미·중 무역갈등으로 시작된 자유 무역주의 쇠퇴가 가속화하고, 글로벌 무역전쟁은 더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중국 견
키움증권은 20일 덕산네오룩스에 대해 발광 소재 점유율 확대 및 IT 유기발광다이오드(OLED)향 블랙(Black) PDL(Pixel Define Layer) 침투율 확대 본격화가 예상된다며 투자 의견을 '매수', 목표 주가를 5만 원으로 유지했다.
김소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덕산네오룩스의 2024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51
LG는 올해 도전과 변화의 DNA를 강조하며 미래 고객에게 꼭 필요하고 기대를 뛰어넘는 가치를 제공해 나가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포착해 미래를 준비하고, 집중력 있게 실행할 방침이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남이 미처 하지 못하는 것을 선택한다는 LG의 데이(Day) 1 정신에는 고객을 위한 도전과 변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넘어 ‘미국 유일주의(America Only)’ 정책을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공식 취임한다. ‘트럼프 노믹스’ 시즌2가 현실화한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미·중 무역갈등으로 시작된 자유 무역주의 쇠퇴가 가속화하고, 글로벌 무역전쟁은 더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중국 견
이차전지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비 전문기업인 아바코는 독일 슈미드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유리 기판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2018년 전략적 제휴로 설립된 합작법인 슈미드아바코코리아는 2019년 인쇄회로기판(PCB) 건식공정 장비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리 기판을 이용한 패키징 제조 공정에도 적용할 수
16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신기술 설명회정철동 사장 “올해 확실히 성과 만들겠다”RGB 컬러 각 층에 분리…대형 TV선 최초4세대 OLED, 명암비‧휘도‧색재현력 모두 우월
LG디스플레이가 4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패널을 16일 공개했다. 최대 화면 밝기(휘도)가 4000니트(nit)다. 업계 최고 수준의 휘도로, 향후 OLED TV
LGD, 마곡 LG사이언스파크서 기술 설명회J.U.M.P 키워드로 사업 방향‧계획 밝혀
“작년에는 반전의 기반을 마련했고, 올해는 이를 바탕으로 도약할 것입니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은 16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4세대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신기술 설명회’에서 "올해 확실한 성과를 만드는 해로 만들겠다"며 이같이
업계 최고 수준 4000니트 달성휘도 높이고 에너지 효율 개선완벽한 블랙‧정확한 색 유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명가'로 불리는 LG디스플레이가 4세대 OLED TV 패널을 선보였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혁신을 지속해서 선도해나간다는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16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인공지능(AI) TV 시대에 최적화
1년 만에 분기 기준 흑자를 달성한 LG디스플레이가 16일 장 초반 1%대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24분 현재 LG디스플레이는 전 거래일 대비 1.55% 오른 9190원에 거래 중이다.
전날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26조6153억 원, 영업손실 560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24.8%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