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6가 혼합백신이 국가예방접종(NIP) 사업에 포함됐지만, 수입 제품에 100% 의존하고 있어 백신 자급화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국내에 허가된 영유아 6가 혼합백신은 사노피의 ‘헥사심프리필드시린지주(헥사심)’ 1종뿐이며, LG화학이 후발 주자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당분간 국내 민간·공공 시장은 글로벌 빅파마인 사노피가 독점할
진매트릭스가 A형간염 백신 국산화에 본격적인 첫발을 내디딘다.
백신 개발 전문 기업 진매트릭스는 자사의 A형간염 백신 ‘GMAI-02’에 대한 국내 1상 임상시험시험계획승인서(IND)를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GMAI-02 백신은 바이러스 균주부터 백신 원액까지의 전 과정을 진매트릭스가 자체 연구개발해 생산한 제품으로, 국산 A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4년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 정부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과제의 기간은 2027년 12월까지며, 과제금액은 총 12억원 규모다.
차백신연구소는 조선대 산학협력단(김동민 의과대 교수 연구팀)과 전남바이오진흥원 생물의약연구센터와 협
정부가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수급을 해외 제약사에 의존해 보건의료 예산 출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8월 3주차 1444명으로 전주 대비 5.7% 증가하며 최근 재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의약품 자급화 요구가 높지만, 수입 제품이 선점한 시장에 국산 제품의 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26일 제약·바이오
큐라티스는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33개월 동안 정부로부터 연구개발비 약 41억 원을 지원받는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기존에 진행하는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글로벌 2b/3상에 이어 노령층에 대한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백신 접종 연령을 청소년 및 성인에서 장년 및 노령층(55~74세)까지 확대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진 카세야(Jean Kaseya) 아프리카 질병관리통제센터(CDC) 사무총장이 경기도 판교 본사를 방문해 아프리카 내 백신 자급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5일 밝혔다.
진 카세야 사무총장은 지난 2월 아프리카 CDC 사무총장으로 취임한 이후 백신 자급화 프로젝트를 알리기 위해 세계 각국을 순방 중이다. 이번 한
아이진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코로나19 예방 mRNA 다가백신 ‘EG-COVII’(이지-코브투)의 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호주 EC/IRB(임상시험윤리위원회)에 제출했다고 10일 공시했다.
호주 임상 1/2a상은 코로나19 부스터 접종 여부 및 접종 횟수와 관계없이 현재 시판 중인 코로나19 예방 백신을 접종한 건강한 성인 임상 참여자들에게
아이진㈜이 감염병 백신 연구개발 성과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상을 받았다.
아이진㈜은 보건복지부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이 지원하는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며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인정받아 김광성 연구부소장이 상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시상식은 질병관리청이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R&D 혁신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제10회 감염병연구
라파스는 비결핵성 항산균인 마이코박테리아 파라고르도네(Mycobacteria Paragordonea, Mpg)를 이용한 신규 결핵 부스터 백신에 대해 보건복지부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의 임상시험계획서 승인신청 IND(Investigational New Drug)를 위한 신규 국책과제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라파스는 이미‘21년 전임상시험에서 Mpg
아이진은 보건복지부 산하 백신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단의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사업에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결핵 예방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을 위한 이번 국책과제 연구에서 아이진은 1년 9개월 동안 사업비 규모 총 약 23억3400만 원 중 17억5000만 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다. mRNA 기반의 BCG 부스팅용 결핵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면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기후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의 지속성과 대응 전략은 담은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협의체보고서(TCFD 보고서)를 처음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는 최초다.
TCFD는 2015년 주요 20개국(G20)의 요청으로 국제결제은행(BIS)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설립한 국제 협의체로 기업이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
아이진은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사업으로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 유전자재조합백신 개발 연구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총 연구개발비 약 2억 원 가운데 정부로부터 1억5000만 원을 지원받는다. 아이진은 2020년 10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면역증강형 펜타메릭 유전자재조합 일본뇌염 백신개발 연구’를 수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제2차 글로벌 코로나19 정상회의에 참석해 ‘ACT-A’(치료제ㆍ백신 개발 속도 제고 및 공평한 배분 보장 위한 이니셔티브)에 3억 달러를 추가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한국시간으로 이날 저녁 열린 화상 정상회의에서 영상메시지를 통해 "코로나 종식을 위해 국제사회의 노력에 힘을 보태겠다. 우선 ACT-A에 3억 달러 재원
국내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엔데믹(풍토병) 전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에 의한 대규모 감염과 증상 완화로 코로나19의 위험성이 한결 감소한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백신의 역할과 필요성 역시 줄어들면서, 후발주자로 백신을 개발하는 기업들은 효능과 함께 시장성을 확보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우리나라도 다음 달부터 '위드 코로나'를 선언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는 판단 아래 일상으로 천천히 돌아가자는 결정이다.
지속 가능한 위드 코로나를 위해서는 백신 접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 접종은 모두 해외 제약사가 개발한 백신으로 이뤄졌고, 그로 인해 수급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정부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전 세계적으로 백신 공급 부족 문제가 대두되면서 ‘백신 주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백신 개발 속도를 앞당기기 위해 이미 허가된 백신과 성능을 비교해 신규 백신이 기존 백신보다 효과가 같거나 그 이상이면 허가하는 ‘비교임상’ 방식이 도입됐고, mRNA(메신저리보핵산ㆍ전령RNA) 백신 개발을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GBP510’이 임상 3상에 진입했다. 국내 개발 백신 가운데 처음으로 임상 3상에 들어간 만큼 국내 백신 자급화를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식약처는 전날 코로나19 백신 외부 임상전문가들과 자문회의를 열고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GBP510’의 임상 3상 진입을 위한 근거자료의 적절성과 임상시험계획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GBP510’이 국내 개발 백신 최초로 임상 3상을 시작한다. 이번 임상 3상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가속하기 위해 ‘비교임상’으로 진행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내년 1분기 ‘GBP510’에 대한 임상 3상 중간분석 결과를 도출해 그 이후 허가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날 코로나19 백신 외부 임상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가 mRNA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대량 생산설비를 구축하기 위해 7000억 원 이상을 투자한다. 화이자, 모더나 등 다국적 제약사의 mRNA 백신이 이미 접종을 시작한 만큼 국내 개발사들은 내년까지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국산 mRNA 백신을 개발해 차별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
‘델타 변이’로 전 세계가 또다시 코로나19 공포가 확산되면서 국내외에서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mRNA 플랫폼 백신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바이오업계가 차세대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9일 열린 ‘K-mRNA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 등 3사와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하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