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 빈곤층에 해당하는 노인(65세 이상) 1인 가구 중 절반은 공적연금 미수급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으로는 노인빈곤율 개선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지가 9일 통계청의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노인 가구의 가구원 수별 빈곤율을 계산한 결과, 1인 가구의 40.6%, 2
통계청, '2024 가계금융복지조사' 공표 당일 아침 돌연 취소장기요양보험료 산정 과정서 착오 발생..."통렬히 반성한다""미진한 부분, 크로스체크 방안 마련 등 좀 더 다듬어가겠다"
통계청이 5일 공표 예정이었던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당일 아침 돌연 취소했다. 산식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장기요양요율에 퍼센트(%)를 제외한 값을 넣으면서 수치
올해 3분기 가계 여윳돈을 나타내는 '흑자액'이 128만 원을 기록했다.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웃돈 영향이다. 번 만큼 쓰지 않아 여윳돈이 생겼다는 의미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3분기 가구당(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525만5000원으
소득에서 소비 지출을 뺀 여윳돈인 '가계 흑자액'이 최근 8개 분기 내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계 흑자액(전국·1인 이상·실질)은 월평균 100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만8000원(1.7%) 줄었다. 가계 흑자액은 소득에서 이자비용·세금 등 비소비지출과 의식주 비용 등 소비지출을 뺀 여윳돈을 의
올해 2분기(4~6월) 가구 실질소득이 물가 둔화 영향으로 1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가계소득은 4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4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은 496만1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3.5% 늘었다. 가계소득은 작년 2분기(-0.8%)
고물가ㆍ고금리 지속으로 가계 실질소득은 쪼그라들고, 영세 자영업자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등 민생경제가 좀처럼 되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ㆍ상속세 대폭 완화 등 감세 '드라이브'를 지속할 방침이다. 기업 등에 대한 세부담을 줄여 주면 투자 확대와 일자리 증대로 이어져 민생경제도 나아진다는 '낙수효과' 기조를 유지
농가 평균소득 5083만원…전년比 10.1%↑어가 평균소득 5478만원…전년比 3.5%↑농·어가부채 각각 전년比 18.7%·11.3%↑
지난해 농·어가 소득이 1년 전보다 올랐지만, 부채 증가 폭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5082만8000원으로 전년대비
월평균소득 512만원·전년比 1.4%↑…증가세 둔화실질소득은 1.6%↓…2021년 이후 3년만에 감소전환
올해 1분기 가계소득이 1년 전보다 1.4% 올랐지만 물가 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소득(-1.6%)은 2017년 이후 7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실질소득 감소 전환은 동분기 기준 2021년(-1.0%) 이후 3년 만이다. 고물가 등으로 가구당
미혼인 20·30대 1인 가구는 총 소비지출의 3분의 1이 외식·여행 관련 지출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40·50대는 집밥·집술 관련 지출 비중이 컸다.
본지가 24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표본 3571명)를 활용해 취업자인 미혼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득·지출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20·30대는 월 345만2000원을 벌어 2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전후 20·30대 1인 가구의 소비가 큰 폭으로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10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취업자인 20·30대 미혼 1인 가구의 소득·소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3분기 소비지출은 평균 191만5000원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1~3분기(176만20
올해 국내 가구 평균 순자산(자산-부채)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다.
부동산 가격 하락에 따른 실물자산 감소 등으로 가구 자산이 1년 전보다 대폭 줄고, 임대보증금 확대 등으로 가구 부채가 늘어난 영향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 평균 순자산은 4억
혼자 사는 35~49세 남성이 쓰는 돈의 3분의 1은 음식·주류 관련 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상대적으로 의류·신발, 보건제품 등에 많은 돈을 썼다.
본지가 28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2분기 마이크로데이터(1인 이상 전체 가구)를 활용해 35~49세 미혼 1인 가구의 성별 소득·지출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월평균 376만2000원을 벌어 27
가구주가 35~49세인 가구가 가장 많은 돈을 쓰는 소비 항목은 음식·숙박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지출항목 2위 항목은 기혼 가구인 경우 교육, 미혼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로 나타났다.
본지가 28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2분기 마이크로데이터(1인 이상 전체 가구)를 활용해 가구주가 35~49세인 가구의 소득·지출을 분석한 결과, 기혼 가구는
OECD국 중 노인빈곤율 가장 높아부모봉양·자녀양육…자산축적 못해고령층에 양질의 일자리 확대해야
한국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국가다. 2022년 통계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961만 명, 전체인구 중 비중이 17.7%였다. 2023년 9월에는 18.7%로 상승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
소득 상위 20%-하위 20% 가구 월소득 10배 격차저소득층만 소비 줄고, 적자 내…먹거리 물가 부담↑
고물가 기조가 지속되면서 저소득층 가구에 생계비 부담이 집중되고 있는 모습이다. 고소득층 가구 소득이 크게 늘 때 저소득 가구의 소득은 줄고, 이로 인해 이들 가구의 소비 여력이 떨어지고 있어서다.
23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통계청,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발표저소득층 9000원↓ㆍ고소득층 227만 원↑
올해 3분기 가계 월 소득이 1년 전보다 16만 원 넘게 늘었지만 고물가 여파로 실질소득은 1만 원 정도 증가하는 데 그쳤다.
또한 소득 5분위별 가구 중 저소득 가구인 소득 하위 20%(1분위)만 소득(-9000원)이 줄었다. 이와 반대로 고소득 가구인 소득 상위 20
“GDP 증가율 전망 1%대 미만 가능성” 응답 17% 달해 “고금리 여파 비소비지출 증가로 가처분소득 감소 우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다시 제로(0) 성장에 빠지지 않을까?
제로(0%대) 성장에 대한 우려가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 경기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경제성장률 역시 우상향보다는 우하향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 것이다.
올해 2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고물가 여파로 1년 전보다 3.9% 줄어 역대 최대 감소폭을 찍었다.
고금리에 따른 이자 비용 부담이 크게 늘면서 가구가 소비 지출과 저축 등에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 또한 역대 최대 폭으로 줄었다. 가계의 소비 여력이 떨어진 것이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3년 2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면 2분기 가구당
중ㆍ고등학교 자녀를 둔 고소득 가정이 학원비로 한 달 평균 114만 원가량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 중 만13∼18세 자녀가 있는 가구의 월평균 학원ㆍ보습 교육 소비 지출은 100만2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사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가구(학원